문화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무척 친숙한 단어이지만, 누가 그 경계와 개념을 묻는다면 경제나 정치와 같이 명확한 경계와 개념을 떠올리지 못하고 혼란에 빠지게 된다. 쉽게는 시, 소설, 발레, 오페라 등의 예술분야를 떠올리지만 곧바로 과학, 사회, 정치 심지어는 연속극이나 만화, 휴양지 등 우리의 일상 속에 녹아있는 모든 것들을 문화로 여기게 되며 혼동하게 되는 것이다.
일찍이 인류학자들은 문화의 개념을 사회적 행동양식이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또 다른 학자들은 더 나아가 사회적 행동양식을 통한 추상적 의미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문화에 관한 가장 최초의 개념 정의는 1871년 영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타일러에 의해서 다뤄졌는데, 사회인은 자연 및 원시와 대립하며 인위적인 무엇을 가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결과물들을 문화라고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그 결과물은 인간이 요구하는 지식, 믿음, 예술, 도덕, 법, 관습, 습관 그리고 이에 따르는 모든 가능성에 의해 만들어진 합성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란 경험과 연구를 통해 학습되어진 사회 또는 소집단의 결과물을 뜻하게 되며, 결국 사회 구성원들 간의 관계성을 표현하고 나아가 그 구성원들을 지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념을 기초로 생각해 볼 때, 문화는 우리 일상 속의 의미를 동반하는 모든 행위들을 포괄하고 있는 셈이며 광범위한 실천범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명확한 경계와 개념을 논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렇기에 광범위한 실천범위를 갖고 있는 문화의 또 다른 난제는 문화를 연구하는 뚜렷한 공식이나 방법론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문화는 자신만의 명확한 범주를 갖고 있다. 모든 것을 포함하고 관용을 베푸는 듯해도 자신의 모습은 뚜렷이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사회의 관습에 구애되지 않는 자유분방한 방랑자의 모습을 갖고 있으며, 느슨하게 모든 분야를 넘나들며 차용하고 포용하며, 자아가 없는 듯해도 누구보다 강력한 색깔을 지니고 있는 보헤미안과 같은 실리주의자인 것이다.
따라서 모든 분야를 넘나드는 문화에 대한 연구는 자연과학과 같이 뚜렷한 기능과 방법론이 없으며, 그 목적과 필요에 따라 인문 사회과학부터 예술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분야의 학술을 연결하여 인류학적 또는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접근하고 분석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경험을 비롯하여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실제적 방법론을 차용하고 통합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20세기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마르크시즘, 포스트 콜로니얼리즘(후기 식민지주의), 페미니즘 등을 비롯하여 후기구조주의, 포스트모던 과학 등의 지적 이해와 훈련과 더불어 그들의 관계를 연결하며 통합을 통해 한곳에 멈추지 않고 물이 흐르듯 연구한다. 즉, 문화연구는 한곳에 고여 있는 학습의 방법론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동적이며 가변적인 문화 연구는 여러 방면의 주장과 서로 다른 의견 또는 정치적 입장에서 끝없는 지적 논쟁을 야기시킨다. 이것은 보헤미안과 같은 문화의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이처럼 끝없이 방법론의 변위를 일으키며 학술들과 실제 사이에서 연계적 통합의 연구를 진행하는데, 이러한 학술의 방법을 비학제 혹은 반학제라고 부른다. 이러한 주장은 1960년대 초 문화학자들에 의해 제창되었고 서구학술계에선 이미 70년의 학술적 전통을 갖고 있는데 최근 우리 학술계에 유행처럼 남발되는 통섭적 학술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코디 최 미술가·문화이론가
이와 같은 개념을 기초로 생각해 볼 때, 문화는 우리 일상 속의 의미를 동반하는 모든 행위들을 포괄하고 있는 셈이며 광범위한 실천범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명확한 경계와 개념을 논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렇기에 광범위한 실천범위를 갖고 있는 문화의 또 다른 난제는 문화를 연구하는 뚜렷한 공식이나 방법론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문화는 자신만의 명확한 범주를 갖고 있다. 모든 것을 포함하고 관용을 베푸는 듯해도 자신의 모습은 뚜렷이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사회의 관습에 구애되지 않는 자유분방한 방랑자의 모습을 갖고 있으며, 느슨하게 모든 분야를 넘나들며 차용하고 포용하며, 자아가 없는 듯해도 누구보다 강력한 색깔을 지니고 있는 보헤미안과 같은 실리주의자인 것이다.
따라서 모든 분야를 넘나드는 문화에 대한 연구는 자연과학과 같이 뚜렷한 기능과 방법론이 없으며, 그 목적과 필요에 따라 인문 사회과학부터 예술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분야의 학술을 연결하여 인류학적 또는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접근하고 분석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경험을 비롯하여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실제적 방법론을 차용하고 통합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20세기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마르크시즘, 포스트 콜로니얼리즘(후기 식민지주의), 페미니즘 등을 비롯하여 후기구조주의, 포스트모던 과학 등의 지적 이해와 훈련과 더불어 그들의 관계를 연결하며 통합을 통해 한곳에 멈추지 않고 물이 흐르듯 연구한다. 즉, 문화연구는 한곳에 고여 있는 학습의 방법론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동적이며 가변적인 문화 연구는 여러 방면의 주장과 서로 다른 의견 또는 정치적 입장에서 끝없는 지적 논쟁을 야기시킨다. 이것은 보헤미안과 같은 문화의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이처럼 끝없이 방법론의 변위를 일으키며 학술들과 실제 사이에서 연계적 통합의 연구를 진행하는데, 이러한 학술의 방법을 비학제 혹은 반학제라고 부른다. 이러한 주장은 1960년대 초 문화학자들에 의해 제창되었고 서구학술계에선 이미 70년의 학술적 전통을 갖고 있는데 최근 우리 학술계에 유행처럼 남발되는 통섭적 학술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2015-10-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