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이 여름의 예감/천운영 소설가

[문화마당] 이 여름의 예감/천운영 소설가

입력 2015-09-16 23:46
수정 2015-09-17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람이 불면 아무 생각이 없어져요. 그냥 바람이, 내 몸을 뚫고 지나가는 것 같아요. 그런데도 좋아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지금 당장은 알 수 없고 다음 세대에나 알 수 있는 일인데. 난 그저 한 줌 씨를 뿌리고 있을 뿐인데. 그냥 좋아요. 그런데 이게 제대로 된 씨앗이기는 한 걸까, 궁금해져요. 그래서 죽기가 싫어요. 싹이 트는 것만이라도 보고 죽으면 좋겠는데.

이미지 확대
천운영 소설가
천운영 소설가
이 말을 하던 사람의 말투가 얼마나 어눌했는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한다. 죽기 싫다고 해 놓고 얼마나 수줍게 웃었는지. 수줍음에 비해 눈동자는 또 얼마나 선명히 반짝였는지. 그 모든 것들이 어우러져 내 심장박동수를 얼마나 높여 놓았는지. 그때 나는 진심으로 그가 아주 오래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무언가 아름다운 것을 보았을 때 그것을 지켜 주고 싶은 마음과도 같았다. 바람이 불어왔다. 몸을 뚫고 지나갈 정도는 아니었지만 매운 남극의 바람이었다. 그 바람 속에서 어렴풋한 예감이 들었다. 한동안 이 여름에 붙잡혀 지내겠구나.

예감대로였다. 그곳에서 돌아오자마자 나는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기 위한 궁리를 했다. 꼬박 일 년의 시간을 들였다. 꽤 많은 우여곡절과 굳이 말할 필요 없는 굴욕의 순간들을 겪었다. 그 후로 또 일 년 동안은 내게 익숙한 언어가 아니라 새로운 언어를 배우느라 애를 먹었다. 소설 안 쓰고 뻘짓하고 있다는 질타를 열 번쯤 들었고, 백 번쯤 자책했다. 올여름에는 어차피 팔리지도 않는 소설, 설 자리 없는 순문학에서 발을 빼고 업종 전환을 하라는 충고도 들었다. ‘더 오래 소설을 쓰려고 이러는 거야’라고 속으로만 항변했다. 이 무슨 빌어먹을 예감인가 싶었다. 하지만 2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에야 비로소 그 예감의 실체를 겨우, 겨우 조금 알게 되었다.

남극의 과학자들에게서 받은 첫인상은 어리석음이었다. 연구 과정은 미련할 정도로 반복적이고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에 비해 연구 성과는 얼마나 미미하고 하찮아 보이는지. 왜 그러고 있냐 물으니 알고 싶어서라고 했다. 그러곤 다시 연구 과정을 이어 나갔다. 그 모습이 이상하게 아름답게 느껴졌다. 무엇이 그들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인지 그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없었다. 몰두하는 사람들의 아름다움인지, 그저 남극의 후광을 입어 아름답게 보였는지, 그들이 연구하는 남극의 생명체들에게 특별한 비밀이 숨겨져 있는지. 나도 알고 싶었다.

두 번째에는 과학자들 곁에 조금 더 바싹 붙어 다녔다. 함께 걸으며 함께 찾고 함께 기다렸다. 화석 연구자와 함께 하루 종일 돌을 깨고 뒤집어서 나무 화석을 찾았다. 남극이 한때 숲이었다는 증거. 생태학자와 함께 식물의 숫자를 셌다. 1년에 0.1㎜씩 100년 동안 1㎝ 자란 식물의 시간이 보였다. 펭귄 연구자가 펭귄의 먹이 습성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인간의 스케줄이 아니라 펭귄 스케줄에 맞춰야 했다.

그들은 지구의 주인 행세를 하며 다른 생명체를 파괴하는 오만한 존재가 아니었다. 호기심을 가지고 다른 존재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지구의 수많은 생명체 중 하나였다. 그들은 지구의 아주 작은 존재로서 알고 싶은 것을 향해 묵묵히 탐구의 과정을 이어 나가고 있었다. 그 시간은 우주의 시간이었다. 그 여름이 아름다웠던 것은 그 때문이었다. 그리고 나는 앞으로도 그 여름에 붙잡혀 살아가게 될 것이다. 알고 싶은 것을 향해 묵묵히, 씨를 뿌리는 심정으로, 소설을 쓸 것이다. 한동안이 아니라 영원히. 이것이 바로 이 여름에 내가 알게 된 예감의 실체다.
2015-09-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