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KBS 아나운서
이행시나 노랫말 개사를 통해 안 웃기는 사람을 찾는 그들의 시도 이면에는 재미없는 이행시를 통해 웃기려는 의도가 있다. 그 기묘한 설정에 썰렁한 유머를 비웃었던 사람들마저 묘하게 빠져들게 된다. 진지함의 척도는 참으로 묘해서 어느 수준을 넘기면 객석에서 웃음이 새어 나오기 때문에 수위조절이 쉽지 않다. 이렇게 진지함으로라도 웃기려는 개그맨들의 아이디어는 그들이 그동안 시청자의 높아진 웃음 기준을 맞추기 위해 얼마나 노력해 왔는지 깨닫게 한다.
동두천에는 ‘숲 속 창의력 학교’가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기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게임 중독이나 따돌림, 인터넷 중독 같은 사회 부작용으로 학교생활에 스며들지 못하는 아이들이 숲 속에 모여서 세상과의 거리감을 유지한 채 자신을 치유하는 학교다. 밤새 게임 하고 낮에 학교에서 자던 아이들은 숲 속에 모여 일단 게임을 할 기회를 빼앗긴다. 산을 오르고 개울을 건너고 밭을 갈고 대자연과 호흡하다 보면 그들은 저절로 공부를 하고 싶어 한단다. 공부를 안 시킴으로써 공부를 하고 싶게 만드는 방학(放學)의 역설이다.
수년 전, ‘마음 말하기 연습’이라는 소통 관련 책을 낸 후 매체 인터뷰에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청소년 시기의 아들아이와 어떻게 소통하느냐는 질문이었다. 나는 ‘소통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즉, 침묵으로 소통하는 것이다. 그 시기 아이들은 부모와의 소통이 불편하도록 유전자가 설정됐다. 억지로 입을 열려는 시도는 오히려 그들의 마음 틈새마저 막아 버릴지 모른다. 그저 그 시기를 그들의 방법으로 넘기도록 지지해 주고 지켜봐 주고 기다려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하지만 적어도 부모의 마음은 늘 열려 있다는 것은 알려 줘야 한다. 늦게 돌아온 아이에게 한두 마디 질문을 던지고 아이의 반응을 살피자. 아이의 답이 한두 마디로 끝나면 소통할 마음이 없는 것이다. 서너 단어가 이어지면 그래도 마음이 열려 있는 것이다. 즉 소통의 역설, 침묵으로 마음을 나누는 소통을 시도하는 것이다.
‘무엇인가 창문을 두드린다./ 놀라서 소리 나는 쪽을 바라본다./ 빗방울 하나가 서 있다가 쪼르르 떨어진다./ 우리는 언제나 두드리고 싶은 것이 있다./ 그것이 창이든 어둠이든,/ 또는 별이든.’ 강은교 시인의 ‘빗방울 하나가’라는 시이다. 맞다. 사람들은 언제나 두드리고 싶은 것이 있다. 당신은 무엇을 두드리고 싶은가? 실례를 무릅쓰고 시를 조금 바꿔 봤다. ‘무엇인가 내 마음을 두드린다./ 놀라서 소리 나는 쪽을 바라본다./ 아이가 서 있다가 눈물 한 방울을 쪼르르 흘린다./ 아이는 언제나 두드리고 싶은 것이 있다./ 그것이 자기 마음이든 부모의 마음이든 또는 세상의 문이든.’
아이들은 부모의 마음을 늘 두드린다. 웃음으로 문을 열 수 없어서 진지함으로, 말로 문을 열 수 없어서 침묵으로 문을 열려고 하는지도 모르겠다. 이제 우리가 아이들의 마음을 두드리자. 이 더운 여름 재수하느라 힘든 나의 아들에게 작은 응원을 보낸다. 아들, 사랑한다.
2015-08-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