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장에서 음악회를 진행하다 보면 색다른 경험을 한다. 연주가 끝나고 무대는 암전이 된다. 어둠을 헤치고 불안한 걸음을 내디뎌 무대로 나선다. 한 줄기 빛이 나를 비춘다. 객석 청중은 어둠 속에 빛이 만든 작은 동그라미 안에 담긴 나를 보지만 나는 여전히 암흑이다. 보이지 않는 청중에게 나는 말한다. 마치 그들이 보이는 것처럼. 빛이 비춰도 나는 여전히 어둠 속이다.
이런 경험을 할 때마다 떠오르는 그림이 있다. 르네 마그리트의 ‘빛의 제국’이다. 초현실주의 화가인 마그리트는 빛을 주제로 많은 그림을 그렸다. 평범한 풍경화로 보이는 ‘빛의 제국’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순이 있다. 집과 나무들과 가로등은 어둠 속에, 하늘과 구름은 빛 속에 있다. 하늘은 낮인데, 땅은 밤이다. 심지어 가로등 불빛조차 영롱하다.
그가 쓴 데페이즈망 기법은 평범한 사물을 일상적인 자리가 아닌 곳에 배치해 낯선 느낌으로 사물을 바라보게 한다. 당연하지 않은 자리는 메시지를 만든다. 그의 ‘빛의 제국’ 연작들은 편안함과 불안감이 공존한다. 빛과 어둠의 공존이 만드는 묘한 아름다움과 함께 불일치에 의한 긴장감을 놓을 수가 없다.
횡성에 있는 ‘뮤지엄 산’에는 제임스 터렐의 작업들이 있다. 빛과 공간을 바탕으로 한 경험을 관객이 직접 느끼게 하는 그의 작품들은 그의 말대로 조각가가 흙을 만지듯 빛을 다룬 것들이다. 하늘과 공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지만 그는 하늘과 빛을 요리했다. 전시장에서 세 번의 각기 다른 짜릿한 체험을 거쳐 내가 마지막으로 들어간 공간은 한 치 앞도 안 보이는 흑암이었다. 어둠 속에 잠시 머물다 불안한 기대감으로 옆방으로 들어섰다. 얇고 투명한 막으로 덮인 신비의 방은 텅 빈 공간이었다. 빛의 화려한 장난에 마음을 빼앗기고 다시 나온 흑암의 방은 같은 공간인데도 그리 어둡지 않은 착시를 일으켰다. 어쩌면 우리는 빛과 어둠에게 속고 있는지도 모른다.
미디어 아티스트 한호가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영원한 빛, 동상이몽’을 공연 중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 구멍을 뚫고, LED 조명을 배치해 인공 태양이 떠오르고 지는 15초의 과정을 관객이 체험하게 한다. 어머니와 헤어져 강물에 비친 달빛을 보며 그리움을 달랬던 그의 유년 시절이 작품에 빛으로 스며들어 있다. 특별히 위안부 할머니들의 치유의 공간으로 구상한 그의 설치 작품은 마음으로 하늘을 보며, 작가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빛의 선물을 받아들이게 한다. 개인적인 느낌으로 그 공간은 빛의 사과처럼 보였다. 빛이 있어야 할 때에 있지 못해서 미안하다는 사과가 어두운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할머니들에게 작은 위로를 보낸다.
‘어두운 이 땅에 고통의 신음뿐, 시들어진 저 꽃들에겐 어떤 희망도 기대할 수 없지만 실망하진 마. 이제는 우리가 너희들의 사랑을 완성할 테니, 지켜봐 그 언젠가 너희들의 눈물이 이 세상을 밝혀 주는 환한 빛이 될 테니까.’ 김범수의 ‘빛’의 노랫말이다. 이 땅은 많은 이들의 눈물이 빛이 돼 비추고 있다. 어린 시절만큼 현충일의 의미를 되새기지도 않고, 묵념을 하지도 않지만 여전히 그분들의 눈물은 반짝거린다. 전쟁 이후에도 수많은 사람들의 또 다른 눈물이 더해졌기에 이 땅은 여전히 어두운 빛을 머금고 있다. 단지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이다. 결국 눈물은 별이 된다는 사실을. 지금은 엉뚱한 곳에 놓여 있는 것 같은 빛조차도 어디선가 분명 이 땅을 비추고 있다. 빛은 지금도 우리에게 미안해한다. 빛을 지켜 주지 못한 우리의 미안함은 어찌할까.
김재원 KBS 아나운서
그가 쓴 데페이즈망 기법은 평범한 사물을 일상적인 자리가 아닌 곳에 배치해 낯선 느낌으로 사물을 바라보게 한다. 당연하지 않은 자리는 메시지를 만든다. 그의 ‘빛의 제국’ 연작들은 편안함과 불안감이 공존한다. 빛과 어둠의 공존이 만드는 묘한 아름다움과 함께 불일치에 의한 긴장감을 놓을 수가 없다.
횡성에 있는 ‘뮤지엄 산’에는 제임스 터렐의 작업들이 있다. 빛과 공간을 바탕으로 한 경험을 관객이 직접 느끼게 하는 그의 작품들은 그의 말대로 조각가가 흙을 만지듯 빛을 다룬 것들이다. 하늘과 공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지만 그는 하늘과 빛을 요리했다. 전시장에서 세 번의 각기 다른 짜릿한 체험을 거쳐 내가 마지막으로 들어간 공간은 한 치 앞도 안 보이는 흑암이었다. 어둠 속에 잠시 머물다 불안한 기대감으로 옆방으로 들어섰다. 얇고 투명한 막으로 덮인 신비의 방은 텅 빈 공간이었다. 빛의 화려한 장난에 마음을 빼앗기고 다시 나온 흑암의 방은 같은 공간인데도 그리 어둡지 않은 착시를 일으켰다. 어쩌면 우리는 빛과 어둠에게 속고 있는지도 모른다.
미디어 아티스트 한호가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영원한 빛, 동상이몽’을 공연 중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 구멍을 뚫고, LED 조명을 배치해 인공 태양이 떠오르고 지는 15초의 과정을 관객이 체험하게 한다. 어머니와 헤어져 강물에 비친 달빛을 보며 그리움을 달랬던 그의 유년 시절이 작품에 빛으로 스며들어 있다. 특별히 위안부 할머니들의 치유의 공간으로 구상한 그의 설치 작품은 마음으로 하늘을 보며, 작가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빛의 선물을 받아들이게 한다. 개인적인 느낌으로 그 공간은 빛의 사과처럼 보였다. 빛이 있어야 할 때에 있지 못해서 미안하다는 사과가 어두운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할머니들에게 작은 위로를 보낸다.
‘어두운 이 땅에 고통의 신음뿐, 시들어진 저 꽃들에겐 어떤 희망도 기대할 수 없지만 실망하진 마. 이제는 우리가 너희들의 사랑을 완성할 테니, 지켜봐 그 언젠가 너희들의 눈물이 이 세상을 밝혀 주는 환한 빛이 될 테니까.’ 김범수의 ‘빛’의 노랫말이다. 이 땅은 많은 이들의 눈물이 빛이 돼 비추고 있다. 어린 시절만큼 현충일의 의미를 되새기지도 않고, 묵념을 하지도 않지만 여전히 그분들의 눈물은 반짝거린다. 전쟁 이후에도 수많은 사람들의 또 다른 눈물이 더해졌기에 이 땅은 여전히 어두운 빛을 머금고 있다. 단지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이다. 결국 눈물은 별이 된다는 사실을. 지금은 엉뚱한 곳에 놓여 있는 것 같은 빛조차도 어디선가 분명 이 땅을 비추고 있다. 빛은 지금도 우리에게 미안해한다. 빛을 지켜 주지 못한 우리의 미안함은 어찌할까.
2015-06-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