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 5월이 끝나가는 지금 문득 부모님 생각이 머리를 스친다. 내가 고등학생일 때 두 분은 갓 쉰을 넘긴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앞서거니 뒤서거니 떠나셨다. 20대 시절만 해도 가끔씩 꿈에서 뵙곤 했는데, 서른이 넘은 뒤로는 거의 잊고 살았다. 사진을 보지 않고서는 이제 부모님 얼굴조차 흐릿하다. 차라리 잡초 우거진 산소 풍경이 더 익숙하다.
나도 이제 50대 중반으로 접어들었으니, 부모님보다 더 오래 인생을 겪었다. 나이로만 본다면 이제 내가 부모님의 인생 선배가 된 셈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부모님 나이를 넘어서면서 부모님에 대한 모든 기억이 객관화되는 걸 경험했다. 쉰 전에는 부모님의 언행을 주로 기억했다면, 쉰을 넘기면서는 그런 언행의 이면에서 작동한 부모님의 성격이나 의도를 자연스레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부모님의 잘잘못을 구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그 덕분인지, 어린 시절에 부모님에게서 받은 자잘한 상처의 앙금들도 저절로 사라졌다. 부모님이 자식인 내가 무조건 우러러봐야 할 대상이 아니라, 나보다도 인생 경험이 짧은 평범한 사람으로 새롭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부모는 결코 성인(聖人)이 아니며, 따라서 부모의 사랑도 절대적이지 않다. 부모의 자식 사랑이 다분히 계산적임은 오래전에 한비자(韓非子)가 예리하게 지적한 바 있다. 아들을 낳으면 좋아서 서로 축하하면서도, 딸을 낳으면 기뻐하기는커녕 왜 불평하는가라는 질문이 바로 그것이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는 말이 있다. 자식들에 대한 부모의 공평하고도 절대적인 사랑을 표현한 속담이다. 나도 예전엔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정말 그렇다고 굳게 믿곤 했다. 그런데 부모님의 나이를 넘어서면서부터는 그 말을 믿지 않는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은 물론 없지만, 덜 아프거나 더 아픈 손가락이 있다는 사실을 비로소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비자의 지적이 신선하게 다가온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112명의 아동이 가정폭력으로 숨졌다. 가해자 대부분은 바로 부모였다. 사망에까지 이르지 않은 아동학대는 부지기수다. 부모의 사랑 운운하기조차 낯간지러운 현실이다. 굳이 폭력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릴 때 부모의 편애나 차별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부모로부터 크고 작은 상처 한 번 받아 보지 않은 이는 또 얼마나 될까. “왠지 모르게 마음이 더 가는 자식이 있다”는 말에 대해 절대로 그렇지 않다고 확언할 수 있는 부모는 과연 얼마나 될까.
부모의 사랑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차분히 되새길 필요가 있다. 자식을 향한 부모의 사랑에는 사랑으로 포장한 부모 개인의 욕망과 집착이 적잖이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자기가 못한 일을 자식을 통해 이루려는 과도한 교육열과 끝없는 간섭은 과연 순수한 사랑일까. 푸른 하늘 그보다도 높고, 푸른 바다 그보다도 깊은 어머님(부모님) 은혜는 어떤 욕망도 배제된 순수함뿐일까.
금수(禽獸)도 자기 자식은 끔찍이 보살피고 사랑한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도 마찬가지다. 지극히 자연적이다. 그래서 오히려 불완전하다. 그런데 그런 사랑을 신성시하고 절대화해 강조한다면, 그것은 불순물로 오염된 한갓 이데올로기일 뿐이다. 그래서일까. 가정의 달을 보내는 마음이 허전하다.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그 덕분인지, 어린 시절에 부모님에게서 받은 자잘한 상처의 앙금들도 저절로 사라졌다. 부모님이 자식인 내가 무조건 우러러봐야 할 대상이 아니라, 나보다도 인생 경험이 짧은 평범한 사람으로 새롭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부모는 결코 성인(聖人)이 아니며, 따라서 부모의 사랑도 절대적이지 않다. 부모의 자식 사랑이 다분히 계산적임은 오래전에 한비자(韓非子)가 예리하게 지적한 바 있다. 아들을 낳으면 좋아서 서로 축하하면서도, 딸을 낳으면 기뻐하기는커녕 왜 불평하는가라는 질문이 바로 그것이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는 말이 있다. 자식들에 대한 부모의 공평하고도 절대적인 사랑을 표현한 속담이다. 나도 예전엔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정말 그렇다고 굳게 믿곤 했다. 그런데 부모님의 나이를 넘어서면서부터는 그 말을 믿지 않는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은 물론 없지만, 덜 아프거나 더 아픈 손가락이 있다는 사실을 비로소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비자의 지적이 신선하게 다가온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112명의 아동이 가정폭력으로 숨졌다. 가해자 대부분은 바로 부모였다. 사망에까지 이르지 않은 아동학대는 부지기수다. 부모의 사랑 운운하기조차 낯간지러운 현실이다. 굳이 폭력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릴 때 부모의 편애나 차별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부모로부터 크고 작은 상처 한 번 받아 보지 않은 이는 또 얼마나 될까. “왠지 모르게 마음이 더 가는 자식이 있다”는 말에 대해 절대로 그렇지 않다고 확언할 수 있는 부모는 과연 얼마나 될까.
부모의 사랑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차분히 되새길 필요가 있다. 자식을 향한 부모의 사랑에는 사랑으로 포장한 부모 개인의 욕망과 집착이 적잖이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자기가 못한 일을 자식을 통해 이루려는 과도한 교육열과 끝없는 간섭은 과연 순수한 사랑일까. 푸른 하늘 그보다도 높고, 푸른 바다 그보다도 깊은 어머님(부모님) 은혜는 어떤 욕망도 배제된 순수함뿐일까.
금수(禽獸)도 자기 자식은 끔찍이 보살피고 사랑한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도 마찬가지다. 지극히 자연적이다. 그래서 오히려 불완전하다. 그런데 그런 사랑을 신성시하고 절대화해 강조한다면, 그것은 불순물로 오염된 한갓 이데올로기일 뿐이다. 그래서일까. 가정의 달을 보내는 마음이 허전하다.
2015-05-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