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상춘객/김경주 시인

[문화마당] 상춘객/김경주 시인

입력 2015-04-22 23:40
수정 2015-04-22 2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경주 시인
김경주 시인
봄볕이 좋다. 봄볕에는 아지랑이가 어울린다. 봄볕이라는 단어를 노트에 써놓고 본다. 봄볕. 문학적 향기를 피어올리고 싶다. 꽃구경 가고 봄기운을 즐기러 다니는 상춘객들이 보인다. 지난 겨울부터 ‘봄볕’이라는 단어를 떠올려 보았다. 봄볕이라는 단어 속을 미리 서성거려 보는 게 나의 일이다. 상춘객처럼 나는 햇볕이 그립다. 오늘 아침엔 작업실 처마 아래 박새 한 마리가 앉아 햇볕을 쬐고 있었다. 아기 손바닥만 한 작은 새였다. “ 고놈. 아직 깃털이 연둣빛이구나.” 산꽃을 먹었는지 새는 햇볕 속에 눈을 감은 채 졸고 있었다. 햇볕이 닿는 그 작은 등이 따뜻하고 부드러워 보였다. 따사로운 햇볕 속에서 졸기. 내가 생각하는 평온한 일 가운데 하나는 그런 풍경이다. 꽃구경을 가고 싶다. 기백이 약해 나는 봄이 되면 상춘객을 자처하고 여기저기 들과 산으로 다니곤 했다. 결기도 내려놓고 햇볕을 쪼이며 졸고 있는 꽃들을 찾아다니는 상춘객의 발걸음이 부러웠다.

봄볕. 어디로 가야 쪼이다 올 수 있을까. 이맘때면 진달래와 산수유가 한창이다. 진달래는 벌써 고려산을 뒤덮고 있다고 한다. 군락을 형성한 것이다. 기자들은 ‘진달래 물결’이라는 진부한 단어를 고집할 것이다.

‘진달래 산불’이라고 하면 어떤가. 철새들의 군락지라는 말보다 진달래 군락지라는 말이 좋다. 능선에 부풀어 오른 분홍색 진달래 군락지를 떠올려 본다. 군락은 같은 지역에 모여 생활하는 부락을 뜻하기도 하지만 식물에 의하여 형성된 생물 공동체를 뜻하기도 한다. 같은 환경 조건을 가진 식물들의 무리들인 것이다. 생겨 먹은 모양과 뜻이 비슷해 모여 산다는 것일 게다. 그런 식물성에 자주 눈이 간다. 같은 생육 조건을 갖고 태어나서 떼를 지어 자라고, 꾀가 비슷한 놈들끼리 모여 사는 모습이 보기 좋은 것이다. 인간은 생육 조건이 여러 가지로 달라지면서 섭생이 거칠어져 가고 있다. 자기 꾀에 걸려 스스로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종은 인간뿐이다. 꾀를 부려 봐야 우리는 저들처럼 능선 하나 차지하지 못하고 봄이면 제 집에 상춘객을 불러오지도 못한다.

산빛과 물빛으로 빚어진 진달래 능선을 따라 걷는다. 민둥산에 심었던 꽃들이 벌써 많이 자랐다. 화전민과 함께 살아가면서 진달래는 생명력이 왕성해진 꽃이다. 진달래는 산불도 먹어 치울 것이다. 진달래로 전을 부쳐 먹고 화전민이 거친 땅에 산불을 내어 밭을 가는 풍경을 이젠 보기 드물다. 그들이 지나간 자리에 다시 피어나던 진달래는 토혼을 간직한다. 퍽퍽한 삶이 지나간 자리에 피는 꽃이기 때문이다. 진달래가 피면 아픈 시인도 있었다. 그 시인은 진달래의 숨소리를 닮은 시어들을 골라 결 고운 시를 몇 수 남겼다. 그는 죽기 전 진달래 몇 뭉텅이 같은 각혈을 하다가 고향 뒷산에 묻혔다. 진달래를 따라갔다가 화폭 속에 검은 소나무를 가득 심어 놓고 그 숲으로 걸어가 돌아오지 않는 화가도 있었다. 진달래도 조금 아팠다고 해 두자.

저녁이면 진달래는 물안개처럼 산능선에 자욱하다. 진달래가 자욱하다라고 노트에 써 놓았다. 내 우편함엔 진달래 통신소에서 이런 소식들이 오곤 한다. 강물을 따라 좀 더 상춘객 행색을 해 본다. 북한강과 소양강, 의암호까지 걸어 보았다. 페달이 싱싱한 자전거길도 한창이다. 산수유가 봄 햇살에 반짝인다. 산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길은 밤에도 밝다. 산빛은 밤에 어두워지나 산꽃은 더 밝아지기 때문이다. 호수 속까지 들어간 산 안개들은 물속에서 피어난 꽃 같다. 봄볕이 좋아 여기까지 산수유 열매를 주우러 오는 사람이 있다. 겉보기에 따라 다들 이런 군락을 글 속에 담고자 애쓴다.
2015-04-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