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엄마의 휴대전화/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문화마당] 엄마의 휴대전화/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입력 2014-11-20 00:00
수정 2014-11-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엄마가 집에 오시기로 했다. 예전엔 멀다고 안 오시더니 요즘은 집에 계시기가 심심한지 아버지가 볼일 보러 나가시는 날에는 아내와 내가 회사로 출근하고 없을 때 간혹 다녀가곤 하신다. 평택에서 파주까지 가까운 거리는 아니지만 “합정역에서 2200번 타니 바로 앞에 세워준다”면서 흡족함을 표현하신다. 오늘도 엄마가 집에 오시기로 했다. 그런데 확인차 전화를 해봐도 전화기가 꺼져 있다. 곧 오시겠지 싶다가도 걱정이 된다. 엄마의 휴대전화가 꺼져 있었던 적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동치미를 같이 담기로 해서 무를 씻어 절여놓기는 했는지라 분명히 오시리라 생각하는데 문 열리는 소리가 들린다. 엄마가 오신 것이다.

오자마자 휴대전화를 달라고 해서 살펴보니 꺼져 있다. “아니 그게 왜 꺼져 있냐?” 하신다. 전원을 켜니 배터리도 충분한데 분명 어딘가를 잘못 누르신 거겠지. 엄마는 집이 왜 이리 엉망이냐며 바로 집 정리에 돌입하시고 나는 쓰던 글을 그만두고 엄마의 휴대전화를 유심히 살피기 시작했다.

바탕화면엔 형의 둘째아들인 손주의 웃는 얼굴이 가득 채우고 있다. 그리고 웬 ‘닝코 대전쟁’ ‘삶은 계란’ ‘판타랜드 도돌런처’ 같은 아이들 게임이 잔뜩 깔려 있다. 아마 화면의 주인공 녀석이 엄마 몰래 할머니의 휴대전화로 게임을 하기 위해 깔아놓은 것일 테다. 그걸 가만히 보고 있는데 문득 엄마의 문자함이 궁금해졌다. 안 읽은 문자가 8통이다. 예전에 엄마에게 문자를 보낸 적이 있는데 감감무소식이라 왜 내 문자에 답을 안 하느냐고 했다가 뒤통수를 얻어맞은 적이 있었다. 엄마는 휴대전화 문자를 볼 줄 몰랐던 것이다. 그래서 몇 번에 걸쳐서 문자 보는 방법을 가르쳐 드린 적이 있다. 그때 휴대전화에는 안 읽은 문자가 수백 통이 넘었었다. 지금은 8통인 걸 보면 문자를 읽긴 하신가 보다. 어떤 문자들인가 보니 전부 광고문자다. 내친김에 문자목록을 살펴보니 대부분이 광고문자다. 광고들이 엄마의 휴대전화를 점령하고 있었다. 엄마는 이것을 지우시지 않는다. 지우는 방법을 모르는 것이다. 그리고 지울 마음도 없으신 것이다. 예전에 지워 드릴까 물었더니 심심할 때 본다고 지우지 말라 하셨던 게 기억난다. 문자목록에서 몇 달을 내려가서야 결혼식 참가에 감사해 하는 혼주의 문자 1통, 속초의 고향 친구가 ‘윤자’인 엄마 이름을 ‘군자’라고 부르며 한번 놀러 오라는 문자 1통이 있었다. 그리고 “나 밥 먹는다”는 손녀의 문자가 1통, 그리고 내가 보낸 문자는 부끄럽게도 단 1통도 없었다.

황망한 마음이 들어 휴대전화를 손에서 내려놓았다. 손주의 놀이터가 되어주는 것을 넘어 기꺼이 광고의 쓰레기통까지 되어주는 이 휴대전화의 실존 앞에서 가슴이 아파왔다. 그러는 동안에도 어질러놓은 우리 집은 점점 정리되고 빛이 나기 시작했다. 뒤죽박죽이었던 장롱 속의 옷들은 크기대로 가지런하게 걸리고 개켜지고, 들쑥날쑥하던 이불들도 크고 두꺼운 것은 아래로 얇고 가벼운 것은 위로 착착 쌓였다.

동치미까지 담가주시고 엄마가 돌아간 저녁 장롱을 열어보았다. 우리 집에 많은 그 빼곡한 책꽂이들의 알록달록하고 질서정연한 책들보다 장롱 속 세계의 가지런함이 훨씬 더 아름답게 다가왔다. 그걸 찍어 문자로 보내면서 말했다. “엄마, 장롱이 너무 예뻐졌어. 고맙습니다. ”

그리고 작은 결심을 하나 한다. 오늘부터 엄마에게 매일 문자 한 통을 보내드리자는 결심을 말이다.
2014-11-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