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혜란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총장
하지만 국제에너지기구(IEA)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실상은 낙관적이지 않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0번째로 에너지를 많이 쓰는 에너지 다소비국이며 경제활동에 투입된 에너지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지표인 에너지원단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나라 중 33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정부가 지난 6월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효율화 종합대책’을 발표한 것은 그런 까닭이다. 종합대책은 산업·건물·수송 3대 혁신전략과 10대 과제를 담은 에너지 수요효율화 비전을 제시했는데,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시대적 흐름에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된다. 한국전력은 선도적으로 수요효율화와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유도하는 제도를 시행하기 시작했다. 지난 7월부터 아파트를 대상으로 전기 사용 절감량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에너지캐시백’ 제도를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주요 시도 학교와 협력해 에너지절약 교육 프로그램을 시범으로 진행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참여와 실천이다. 지난 6월 말 발표된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OECD 주요 34개국 기준 28번째로 저렴한 수준이다. 가정용 요금기준으로 독일의 35%, 일본의 45%에 불과하다. 전기 절약을 통해 줄일 수 있는 요금이 적다 보니 에너지 절약에 대한 동기부여가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지만, 에너지 절약 실천은 단지 경제적 유인에만 달린 것은 아니다. 미래세대를 위해 기후 위기로부터 지구와 한반도를 지켜야 한다는 기후윤리, 세대윤리의 관점 또한 강력한 유인이 될 수 있다. 대기전력을 줄이고, 냉방 시 문과 창호를 닫고 냉방온도를 26~28도로 설정하는 정도의 작은 실천만으로도 여름철 피크 수요의 10% 이상을 줄일 수 있다.
기후 위기에 대응한 탄소중립 실현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요구이고 이를 위해 에너지 수요효율화를 위한 국민의 관심과 실천이 절실하게 필요한 때이다.
2022-08-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