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교사들, 잘 가르치기 전에 잘 배워야/이혁규 청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기고] 교사들, 잘 가르치기 전에 잘 배워야/이혁규 청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입력 2016-09-26 22:44
수정 2016-09-26 23: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량 중심의 교육 과정이 세계적인 추세다. 왜 지식이 아니고 역량인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으로는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도 자기 관리, 지식정보 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공동체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런 역량들이 미래 사회에 왜 필요한지에 대한 설명은 필요 없어 보인다.

이미지 확대
이혁규 청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이혁규 청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그런데 문서에 불과한 교육 과정이 실제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교사들이 교육 과정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문지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교사들은 미래 역량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아직은 “예”라고 답하기 어렵다.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업화 시대의 강의식 수업이 아직도 지배적이며, 우수한 인력이 교직에 입문함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 한국 교사들이 폐쇄적이고 고립적인 교사 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은 많은 연구물의 같은 결론이었다.

그러나 희망의 빛도 곳곳에서 감지된다. 학교가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이 제기되고 그에 기반한 성찰적인 실천 경험도 축적되고 있다. 거꾸로 교실, 하브루타, 배움의 공동체, 수업 비평 등 다양한 수업 실천 운동이 기존의 수업 방식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수업과 교육 활동을 중심에 두는 수업 개선과 학교를 혁신하기 위한 노력 등 이런 희망적 변화들이 찻잔 속의 미풍이 아니라 한국 교직 사회를 바꾸는 태풍이 될 수 있을까?

학교 변화가 종국적으로 가능하기 위한 토양은 교사들의 전문 학습 공동체다. 수업을 혁신하고 학교 문화를 바꾸는 일은 이질적이면서 동시에 매우 유동적인 학교 구성원들의 공동 노력을 통해 비로소 가능하다. 나 홀로 열심히 가르치는 방식으로는 더이상 좋은 교육을 실현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왜 교사들이 형성해야 할 공동체가 교수 공동체가 아니라 학습 공동체일까? 여기에는 교사들은 잘 가르치기 이전에 먼저 잘 배우는 존재가 돼야 한다는 간과하기 쉬운 진리가 내포돼 있다. 이를 조직 차원으로 확대하면 학교는 누군가를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기관이 아니라 더불어 소통하며 함께 배우는 곳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뜻이다.

교사들이 이런 공동체를 구축하는 일은 수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거나 새로운 교육 과정을 기술적으로 잘 구현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의미를 넘어선다. 교사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실패한다면 교사 스스로가 21세기에 적합한 역량을 지니고 있지 못함을 예표하기 때문이다. 앞에서 언급한 미래 역량들의 목록을 다시 살펴보라.

이런 역량은 학생들에게만 요구되는 역량이 아니라 교사들 나아가서 우리 모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다. 교육 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천이 엄청나게 발달하고 있지만 타인의 언행을 통해 배우는 암묵적 교육의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았다. 이 점에서 교사들은 교수 역량에 대해 고민하기에 앞서 교사 공동체의 집단적 학습 역량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
2016-09-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