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미술품 조각투자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미술품 조각투자

입력 2024-03-05 01:44
수정 2024-03-05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968년 스톡홀름 전시에서 브릴로 박스와 함께 촬영한 앤디 워홀.
1968년 스톡홀름 전시에서 브릴로 박스와 함께 촬영한 앤디 워홀.
규제 일변도 정책을 구사하는 증권 당국이 조각투자라는 신상품에 대해 적합 판정을 내렸고 조각투자 회사들이 특정 미술품 한 점을 놓고 청약을 받는 시대가 됐다. 얼마 전 청약에 완판은 되지 않았으나 그런대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결국 미술작품을 구입해 놓은 측은 자연스럽게 소유 작품을 팔았다. 이제 남은 것은 가치가 상승해 본인의 추가수익은 물론 조각투자자들이 수익을 나누어 거두면 된다. 그런데 과연 그렇게 될까.

조각투자가 처음 나올 때 이야기다. 사업설명을 하는데 수익률이 50%에서 200%까지 떨어진 작품은 하나도 없었다. 수익률이란 구입하고 팔아서 이익을 남겼다는 의미인데 이 부분이 명쾌하지가 않았다. 왼손이 사고 오른손이 팔았다는 우려를 지울 수가 없었다. 내가 사서 내가 나한테 수익률을 보이고 팔았다면 손실 부분은 법인이 떠안았다는 상황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제는 조각투자가 제도권으로 들어왔고 공모청약까지 하는 시대가 됐다. 조각투자의 유일한 점검사항은 수익률 하나뿐이다. 필자가 조각투자를 시기상조로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시장의 규모다. 조각투자 시장의 규모가 아니라 미술시장의 규모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조각투자 회사가 할 일의 기본 요건은 첫째, 어디에서 저렴하게 작품을 마련할 것인가의 문제다. 미술시장에는 ‘3D’라는 저렴한 미술품 시장이 존재한다. 방금 사망한 콜렉터의 미술품(death), 방금 이혼한 부부의 미술품(divorce), 방금 파산한 콜렉터의 미술품(debt) 등 세 가지가 그것이다.

둘째는 어디에다 팔 것인가의 문제다. 재판매를 할 때 서울의 미술시장에 파는 것이 안전할까, 시장 규모가 수백배 더 큰 뉴욕이 안전할까. 미술품 투자수익률이란 큰 시장에서 저렴하게 매입해서 큰 시장에서 팔아야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작고도 작은 서울 시장에서 조각투자 회사가 사 놓았던 미술작품으로 더 큰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광고를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어쩌면 투자가들은 얼마 안 되는 조각 돈 10만원쯤은 잃어버려도 그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조각투자 회사들은 그런 부분을 노렸을 수도 있다. 국내에는 특정 미술 작품의 정확한 가치를 측정하는 시스템도 없고 전문인력도 거의 없다. 그저 경매 기록에 의존하는 것뿐이다. 가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감정평가법인이 참여한다고 하지만 이를 신뢰해야 할까. 우려의 시선을 거두기 어렵다.

조명계 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이미지 확대
조명계 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조명계 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2024-03-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