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음’과 ‘젊음’을 극단에 놓고
서로 냉소하고 폄훼하는 시대
사람과 사람 사이 중심 잡아줄
바지랑대 같은 사람, 어디 없나
가을이 오면 몇 번의 여름이 남았을까 생각해 본다. 중년의 나이에 들어선 사람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그러면서 젊은 시절 그 많은 여름 동안 세상을 휘젓고 다녔던 청춘의 기억을 떠올린다. 여름이 젊음의 계절이라면 가을은 중년의 계절쯤 된다. 젊음의 눈부신 기억들은 중년 이후의 외로움을 버티게 해 주는 든든한 보험이 된다. 한국의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끈 베이비붐 세대는 이제 인생의 가을 속에 완연히 들어와 있다. 겨울로 가는 준비를 해야 한다.그렇지만 늙는 것, 늙어감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늙은 사람의 지혜와 경륜을 존경하며 인정하는 시대는 지났다. 언제부터인가 늙었다는 것만으로 조롱받는 경우가 빈번하다. 온라인에서 세대 간 갈등이 심해지면서 노인들을 비하하는 혐오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다. 사람들은 보통 ‘에이지즘’, ‘연령 차별주의’를 이야기할 때 나이 든 사람에 대한 혐오를 떠올린다. ‘틀딱’과 ‘꼰대’ 등이 예가 된다. ‘노슬아치’란 말도 있다. 노인, 중장년층을 비하하는 말이다. ‘노인’과 ‘벼슬아치’를 합친 말로 나이가 곧 권력인 것처럼 행동하는 연장자를 연상시킨다. 이 같은 나이 든 사람에 대한 혐오는 나이 든 사람을 쓸모없고 나약한 존재, 더이상 세상에 어떠한 영향력도 끼치지 못하는 존재로 인식하는 데서 나온다. 과거 성장기 한국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현재도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인물이라고 해도 이러한 편견을 피해 갈 수 없다.
반대의 논리도 있다. 청년 혐오도 만만찮다. 기성세대는 지금 젊은 세대들을 이상하다고 아우성이다. 달라도 너무 달라 외계인 같다고 하소연한다. 그러나 무슨 말을 꺼낼 때마다 ‘MZ는 이렇다, 저렇다’ 규정하고 구분하는 것도 일종의 청년 혐오, 에이지즘일 수 있다. ‘MZ답지 않다’는 말은 곧 ‘성실하다’는 말과 동의어쯤 된다. 이 때문에 많은 청년들이 ‘MZ 어쩌고’ 하는 수많은 구분 짓기에 냉소한다.
가을이 오면 많은 사람들은 세월, 나이듦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애인하고도 안 바꾼다는 가을볕이 앞마당에 가득하다. 뜰을 가로질러 기다란 빨랫줄을 묶었다. 단독에 사는 즐거움이다. 잣나무와 단풍나무를 이어 놓은 빨랫줄에 온갖 잡동사니들이 매달려 있다. 바람이 불자 사그락사그락 묘한 소리를 낸다. 랄로의 바이올린보다 명징하다. 빨랫줄 뒤는 푸른 하늘, 그 틈새로 언뜻언뜻 먼 풍경이 손에 잡힐 듯 가깝다.
빨랫줄을 매고 나니 바지랑대가 생각난다. 빨래 무게를 못 이겨 줄이 늘어지면 빨래가 땅에 닿지 않게 빨랫줄을 세워 올리는 긴 장대다. 딱히 대나무가 아니라도 된다. 이제 바지랑대를 아는 사람은 드물다. 젊은 세대에게는 상상조차 어렵다.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처럼 마당이 없는 집에 사는 요즘엔 보기 힘든 물건이다. 설령 마당이 있는 집이라 하더라도 스테인리스 빨랫대에 옷들을 넌다. 그래서 바지랑대는 이제 현대사 박물관 정도에 가 봐야 볼 수 있다.
바지랑대를 보니 불현듯 유년시절이 생각난다. 바지랑대를 붙잡고 놀던 기억이 오늘같이 선명하다. 여름에는 호랑나비가, 가을에는 고추잠자리들이 바지랑대에 앉아 낮잠을 즐겼다. 젊었던 어머니가 젖은 빨래를 탈탈 털 때 안개처럼 흩어지는 기체의 촉촉함이 그냥 좋았다. 햇볕에 말라 바스락거리는 섬유의 촉감을 아는 마지막 세대쯤 된다. “울고 왔다 울고 가는 설운 사정을/ 당신이 몰라주면 그 누가 알아주나요.” 어머니가 빨래를 널며 흥얼거리던 노래다. 문득 그 시절 그리움에 하찮은 감상에 젖게 된다. 그리고 지금은 늙으신 어머니가 그땐 몹시도 젊었다.
그러나 바지랑대는 혼자 서지 못한다. 빨랫줄을 끼우고 세워야 독립이 가능하다. 혼자서는 그냥 긴 막대기일 뿐이다. 하지만 빨랫줄을 끼우고 세워 두면 세찬 바람이 불어도 넘어지지 않고 흔들흔들 균형을 잘 잡아 준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도 바지랑대 역할을 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끝과 끝에 서서 힘 있게 잡아 주는 역할도 중요하지만, 필요할 때 중간 어디쯤에서 받쳐 주는 바지랑대의 역할이 필요한 때가 있다. 지금의 한국사회에는 바지랑대 같은 사람이 절실하다. 좌우는 물론이고 세대조차 갈려 나라가 반쪽이 나 있는 상황에 바지랑대형 인간이 많아져야 한다. 가을이다. 또 한 시절이 가고 있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2024-10-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