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밸리 ‘힙지’ 변신한 구로공단
곤고한 시절 지켰던 ‘공순이’들
불면의 밤과 땀, 눈물 서린 곳
산업화 이끈 옛 청춘에 경의를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상상조차 힘들겠지만 당시 기업에서는 위장 취업자 색출 지침까지 학습됐다. “필체가 이력서 학력보다 좋거나 도수 높은 안경을 쓴 사람, 대학가 속어를 무의식적으로 쓰는 사람, 노동법 지식이 많은 자, 이유 없이 동료들에게 친절을 베푸는 자” 등등이 정권이 내놓은 지침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노동자 인권을 위해 뛰어든 자발적 ‘공돌이’, ‘공순이’였다. 고향집 부모의 기대와 눈물을 모질게 외면한 채 하라는 고시 공부, 취직 공부는 안 하고 스스로 노동자가 됐던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시골에서 상경한 10대 소녀들이었다.
곤고했던 시절이라 힘든 철야 근무도 많았다. 식권이 한 장 나오면 잔업, 두 장 나오면 철야하는 날이었다. 철야하는 밤, 공장에는 타이밍이 쌓여 있었다. 학창 시절 한 번쯤 삼켜 봤던 각성제 타이밍이다. 졸음 때문에 불량품이 나올까 봐 조립 라인에 푸짐하게 나눠졌다. 철야를 끝내고 돌아가는 곳은 벌집이다. 두세 평 남짓한 벌집. 그러나 진짜 벌이 사는 곳은 아니다. 여공들이 산다. 서울 금천구 가리봉동 133-52번지 노동자생활체험관, 관할 지자체가 그 시대 벌집을 똑같이 재현해 놓았다.
그 벌집을 찾았다. 지금은 사라진 후지카 석유곤로가 눈길을 끈다. 못 배운 한을 풀고자 했을까. ‘철학이야기’,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같은 책들이 눈에 띈다. 벌집의 필수품은 취사도구와 비키니 옷장, 그리고 가족사진이다. 신문지로 도배된 벽에는 당시 인기 있던 할리우드 배우와 팝가수 사진 열댓 장을 다닥다닥 끼워 넣은 액자가 있다. 돈을 아끼려고 여공들은 한 방에 서너 명이 살았다. 이런 방이 대여섯 개 잇대어 있는데 화장실은 딱 하나. 아침마다 화장실 앞에서 발을 동동 구르던 그날 새벽의 여공을 생각하니 가슴이 짠해 온다. 생활관측은 과거 이 일대에서 일했던 중장년 여성들이 혼자 오거나 친구들과 찾는다고 한다. 가족과 같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문을 열자마자 쏟아져 나오는 눈물 때문에 체험관을 다 둘러보지도 못한 채 흐느끼며 돌아선다고 한다.
최근 들어 이 동네에 관한 뉴스들이 앞다투어 등장하고 있다. 이 지역의 새 이름 G밸리가 서울 남서부에서 가장 힙한 장소로 뜨고 있다는 것이다. 넷마블이 이미 3년 전 39층 높이로 세운 G타워는 이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잡았다. 정부와 서울시, 자치구도 G밸리를 세계적인 4차 산업단지로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G밸리는 진한 땀 냄새와 함께 삶의 애환이 배어 있는 우리 산업화의 시발점이다. 그래서 한국인들은 이 거리에서만큼은 한없는 연민과 함께 예의를 차려야 한다. 장시간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자신을 희생했던 이 땅의 누나, 여동생들이 흘린 눈물에 대해 우리는 말을 아껴야 한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 / 슬픔의 날을 견디면 / 기쁨의 날이 오리니 / 마음은 미래에 사는 것 / 현재는 언제나 슬픈 것 / 모든 것은 순간적, 지나가는 것 / 그리고 지나간 것은 언제나 그리움으로 남으리.” 벌집 낡은 액자에 있는 푸시킨의 시다. G밸리에는 산업화시대 이 땅의 슬픈 역사가 녹아 있다. G밸리에 행운이 있으라.
2023-11-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