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에서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페루에서 2년 만에 정상회담을 가진 것은 두 나라 관계 개선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기에 무리가 없다. 두 정상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적 밀착에 따라 높아진 한반도의 긴장을 해소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 투자 협상을 가속화하기로 합의하는 등 정치·경제 현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그동안 한미일 협력 강화 움직임에 따라 다소 소원했던 한중 관계를 정상궤도로 재진입시키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한 것이라고 본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라는 인식을 분명히 보여 줬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과 러북 군사 협력에 대응해 역내 안정과 평화를 도모하는 데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고 시 주석은 “윤 대통령과 함께 역할을 하겠다”고 화답했다. 윤 대통령이 한국 기업에 안정적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 것도 경제발전 파트너로 변치 않은 중국의 좌표를 보여 준다.
시 주석이 “2022년 발리 정상회담 이후 국제 및 지역 정세가 많이 변했고, 중한 관계가 전반적으로 발전의 모멘텀을 유지했다”고 말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실제로 중국은 과격한 발언으로 논란을 부른 주한대사를 경질하고 전임자보다 급이 높은 주유엔 대표부 부대표를 내정했다. 여기에 최근 무비자 국가에 한국을 포함시킨 것도 관계 복원에 대한 중국의 의지를 보여 준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한중 협력은 복원돼야 한다.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었던 중국이 그 지위를 잃은 것도 정치적 요인 때문이었음을 상기해야 한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한국의 동참을 요구할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지혜도 필요하다. 안보에 국한해도 그동안에는 한미일 협력이 절실했지만 북러 밀착 이후에는 한중 협력의 가치도 그에 못지않게 높아졌다. 윤석열 정부 집권 후반기 중요한 외교적 과제가 돼야 할 것이다.
2024-11-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