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원폭 위령비 참배 역사적
서방외교 중시하되 중러도 배려해야
캐나다 총리 국회 연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7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외국 정상이 우리 국회를 찾아 연설하는 것은 2017년 11월 8일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 이후 6년 만이다.
안주영 전문기자
안주영 전문기자
윤 대통령은 의장국인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초청으로 G7 회의에 참가한다. 호주, 베트남이 우리처럼 초청을 받았다. 한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은 것은 윤 대통령이 네 번째다. 윤 대통령은 G7 확대회의에서 ‘법치에 기반한 국제질서’ 등을 주제로 한 자유토론 때 3분 내외의 발언도 한다. 한미, 한일 정상회담은 최근에 개최된 까닭으로 따로 열리지 않는다. 대신에 한미일 정상회담을 열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역내 공급망 불안정, 에너지 위기 등 공동의 도전에 대응해 3국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히로시마 방문의 하이라이트는 한국인 피폭자 위령비 참배다. 한일 두 정상이 5만여명의 한국인 희생자를 위로한다.
히로시마 G7의 주요 의제는 우크라이나 문제와 핵무기 없는 세계를 비롯해 경제안보, 신흥국ㆍ개도국과의 공조 등 다양하다.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면서 1인당 국내총생산(GDP) 3만 달러, 인구 5000만명의 ‘3050클럽’에 속한 한국도 얼마든지 이들 G7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적 어젠다를 논의할 자격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때인 2020년 한국, 호주, 인도를 더한 G10 확대 얘기가 나왔으나 그때뿐이었다.
우리의 국력에 걸맞은 옷을 입는다는 차원에서 G8 확대의 기초를 히로시마 G7 회의에서 다지고 향후 외교 목표로 삼을 필요가 있다. 참가국 확대는 7개국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키를 쥐고 있는 것은 아시아 유일의 G7 국가인 일본과 사실상의 수장국인 미국이다.
윤석열 정부 1년의 최대 성과는 한미동맹 강화, 한일 관계 개선이다. 하지만 대(對)중국·러시아 외교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미국과 유럽이 중국을 견제하면서도 대중 외교도 신경쓴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문제로 귀를 곤두세우고 있을 러시아도 배려할 필요가 있다.
2023-05-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