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전 혹독한 제재 고립만 불러
아프간전 후 소련 붕괴 명심해야
조 바이든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방문
지난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예고없이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교회 성 미하일 황금 돔 수도원 앞을 지나고 있다.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지난 1년 전쟁의 결과는 참혹하다. 우크라이나 기반시설의 절반가량이 파괴됐고 국민 3명 중 1명이 난민 신세가 됐다. 에너지와 식량 가격 폭등, 유통망 마비는 지구촌에 살인적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를 안겨 줬다. 올해 말까지 세계적 경제 손실이 2조 8000억 달러(약 3600조원)에 달한다고 하니 재앙이 아닐 수 없다. 빨리 탈출구를 찾아야 함에도 사태는 갈수록 미궁에 빠져드는 형국이다. 국제 제재와 무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러시아는 최근 중국과 더 밀착하면서 장기전에 나설 태세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제2의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푸틴 대통령은 최근 “이번 전쟁은 서방이 먼저 시작한 것”이라며 “서방 국가들이 대리전을 촉발했다”는 궤변을 늘어놓았다. 전쟁 장기화에 대한 책임을 서방 국가들에 돌려 내부 동요를 차단하려는 노림수로 보인다. 대리전 운운은 6·25 전쟁 때 소련이 북한의 남한 침공을 지원하고 그 후 전쟁 책임을 한국을 지원한 미국 등 서방 국가들에 돌렸던 역사를 상기시킨다.
푸틴의 이 같은 전략은 성공하기 어렵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엊그제 전쟁 이후 처음으로 키이우를 전격 방문해 추가 지원을 약속하고 서방 국가들과의 동맹 결속을 강조한 데서 보듯이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들이 적당히 타협할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핀란드 등 러시아 주변 중립국들은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을 서두르고, 중앙아시아 국가들마저 탈러시아에 나서고 있다. 서방세계는 지금보다 혹독한 제재를 벼르고 있다. 전쟁의 출구는 결국 러시아가 열어야 한다. 점령지에서 철군하고 피해 보상 등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소련이 과거 아프간에서의 무모한 장기전으로 인해 붕괴된 역사를 잊으면 안 될 것이다.
2023-02-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