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 정시모집에서도 졸업후 취업이 사실상 보장되는 반도체 학과마저 기피하고 의대를 선택하는 쏠림현상이 더 심화했다. 사진은 SK텔레콤이 개발한 ‘양자암호원칩’ .
연합뉴스
연합뉴스
올해 정시에서는 서울대·연세대·고려대 합격자 중 1343명이 등록을 하지 않았다. 이는 3개 대학 정시모집 정원의 28.8%로, 인문계열에 교차지원했다가 이공계로 이동했거나 자연계 학생들이 의약학 계열로 최종 등록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과생들에게 유리한 교차지원의 불균형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더 굳어지는 의대 쏠림 현상이다. 연세대의 경우에는 반도체와 컴퓨터 관련 학과의 최초 합격자가 단 한 명도 등록하지 않았다. 대다수가 다른 대학의 의학계열로 옮겨 갔다는 얘기다. 이런 추세는 연세대만의 문제도 아니다. 올해 서울 주요 5개 대학 반도체 관련 학과 정시모집에서 최초 합격자 전원이 등록을 포기한 곳도 적지 않았다. 지방대 의대로 최종 등록을 하는 사례가 속출해 4~6차 추가모집까지 한 대학도 있다.
정부가 반도체 강국을 위해 정책적으로 밀고 있는 반도체 학과는 졸업 후 대기업 취업이 사실상 보장돼 있다. 그런데도 현실이 이렇다면 18년간 동결된 의대 정원, 그에 따른 의사 직종의 안정성 탓만 하고 있을 문제가 더는 아니다. 반도체 학과의 정원만 늘려서 될 일이 아니라는 사실도 확인되고 있다. 미래산업 영토 확장과 인재 확보에 세계가 시시각각 혈투를 벌이고 있다. 첨단산업특위를 신설하면서 정작 반도체 전문가는 배제해 논란일 정도로 당장 국회부터 현실 몰인식이 심각한 것이 우리 수준이다.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3대 개혁 과제만큼 중대한 화두로 삼아 국가 전략을 세워야 할 때다.
2023-02-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