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그제 남북 고위당국자 회담에서 키리졸브 한·미 합동군사훈련 연기를 요구하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파행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한다. 훈련 기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상봉 행사는 오는 20~22일, 23~25일 두 차례로 나뉘어 개최되고, 키리졸브 훈련은 24일부터 시작되는 만큼 북측이 엄포를 실행에 옮긴다면 남측 상봉신청자가 북측 가족들과 만날 2차 상봉행사가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해 9월 일방적으로 상봉행사를 무산시킨 북측이 다시 어깃장을 놓기 시작한 것은 이만저만 유감스러운 일이 아니다. 최소한의 인도적 사업만큼은 군사·안보 문제와 분리해 접근하는 열린 자세가 마냥 아쉽다.
어떤 경우에도 이번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차질을 빚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산가족들의 고통 때문이기도 하려니와 어렵게 틔워가고 있는 남북 간 신뢰의 싹을 한순간에 짓밟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북은 상봉 행사를 파행시키는 그 어떤 행위도 삼가야 한다. 매년 방어적 목적으로 실시되는 키리졸브 훈련을 구실 삼아 또다시 상봉 행사를 무산시킨다면 이는 대외적 신뢰 상실은 물론 남북 간 대치 격화로 이어질 것이고, 이에 따른 고통을 상당 기간 겪을 수밖에 없음을 알아야 한다.
우리 정부에도 당부한다. 그제 2·12 회담은 아무런 합의가 없었음에도 남북 간 대화의 기틀을 다져나가는 데 있어서 의미가 작지 않다고 본다. “북측의 의도를 확실하게 알았고, 우리도 북측에 대해 원칙을 확실하게 설명하는 계기가 됐다”고 청와대가 밝혔듯 남북이 상대의 주장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준 자리였던 셈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특히 “북측이 소위 존엄모독, 언론비방과 중상, 키리졸브에 대해 얼마나 크게 생각하는지 등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했다. 그들의 인식이 얼마나 사실에 부합하는지와는 별개로 그런 그들의 인식을 우리가 좀 더 소상하게 이해하게 됐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북한 또한 우리 정부의 한반도신뢰프로세스에 담긴 진심을 보다 확고하게 인식하는 자리가 됐을 것이다.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유연한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북측이 먼저 고위급회담을 요청하고, 키리졸브 훈련을 중단하라던 요구를 연기하라는 쪽으로 물러섰다면 우리도 유연성을 발휘해 남북 간 대화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 미군과 협의해 키리졸브 훈련 일정을 2~3일 단축하거나, 오늘 열릴 2차 회담에서 북측을 설득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남북이 헤쳐가야 할 숱한 도전을 생각할 때 지금은 ‘서로 대화할 만한 상대’라는 인식을 공유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 첫 단추를 꿰는 과정이다. 남북 모두 성심을 다해 대화를 이어나갈 분위기를 만들기 바란다.
어떤 경우에도 이번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차질을 빚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산가족들의 고통 때문이기도 하려니와 어렵게 틔워가고 있는 남북 간 신뢰의 싹을 한순간에 짓밟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북은 상봉 행사를 파행시키는 그 어떤 행위도 삼가야 한다. 매년 방어적 목적으로 실시되는 키리졸브 훈련을 구실 삼아 또다시 상봉 행사를 무산시킨다면 이는 대외적 신뢰 상실은 물론 남북 간 대치 격화로 이어질 것이고, 이에 따른 고통을 상당 기간 겪을 수밖에 없음을 알아야 한다.
우리 정부에도 당부한다. 그제 2·12 회담은 아무런 합의가 없었음에도 남북 간 대화의 기틀을 다져나가는 데 있어서 의미가 작지 않다고 본다. “북측의 의도를 확실하게 알았고, 우리도 북측에 대해 원칙을 확실하게 설명하는 계기가 됐다”고 청와대가 밝혔듯 남북이 상대의 주장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준 자리였던 셈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특히 “북측이 소위 존엄모독, 언론비방과 중상, 키리졸브에 대해 얼마나 크게 생각하는지 등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했다. 그들의 인식이 얼마나 사실에 부합하는지와는 별개로 그런 그들의 인식을 우리가 좀 더 소상하게 이해하게 됐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북한 또한 우리 정부의 한반도신뢰프로세스에 담긴 진심을 보다 확고하게 인식하는 자리가 됐을 것이다.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유연한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북측이 먼저 고위급회담을 요청하고, 키리졸브 훈련을 중단하라던 요구를 연기하라는 쪽으로 물러섰다면 우리도 유연성을 발휘해 남북 간 대화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 미군과 협의해 키리졸브 훈련 일정을 2~3일 단축하거나, 오늘 열릴 2차 회담에서 북측을 설득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남북이 헤쳐가야 할 숱한 도전을 생각할 때 지금은 ‘서로 대화할 만한 상대’라는 인식을 공유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 첫 단추를 꿰는 과정이다. 남북 모두 성심을 다해 대화를 이어나갈 분위기를 만들기 바란다.
2014-02-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