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 미술평론가
마흔 살이 넘어서 전시회에 그림을 선보였지만 비웃음만 샀다. 화단의 주류 화가들이 기존의 미학 이론이나 기법을 따르지 않는 전위적 화가를 무시하는 일은 흔했다. 하지만 함께 전시회를 연 전위적 화가들까지 그를 무시했다. 그의 그림이 너무 이상한 데다 이론도 원칙도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루소는 이론이 정연한 사람이 아니었다. 자기 생각을 이론화할 줄 몰랐고 그럴 필요도 느끼지 않았다. 그냥 붓으로 표현했을 뿐이다.
앙리 루소, ‘쥐니에 아저씨의 짐마차’, 1908년
(97×129㎝, 오랑주리미술관, 프랑스 파리)
(97×129㎝, 오랑주리미술관, 프랑스 파리)
이 그림은 동네 채소가게 주인 쥐니에 아저씨의 가족을 그린 것이다. 일요일, 새로 산 말을 마차에 묶고 온 식구가 소풍에 나선 참이다. 이 허름한 마차는 교외로 물건을 떼러 갈 때도, 가족이 외출할 때도 두루 쓰이는 요긴한 물건이었다. 들쭉날쭉한 크기로 옹기종기 배열된 얼굴들이 자랑스레 우리를 향하고 있다. 개들도 신이 났다. 마차 아래 검은 개가 있고, 마차 앞에서는 강아지가 쫄래쫄래 걸어간다.
앙리 마티스의 제자였던 미국인 화가 맥스 웨버가 물었다. “마차 아래 있는 개가 다른 요소에 비해 너무 크지 않습니까?” 루소는 태연히 대답했다. “그래야만 하기 때문이라오.”
비례가 맞지 않으면 어떠하리. 소박한 아름다움이 있고 따스한 정이 흐르는데.
2023-01-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