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나르트 테르보르흐, ‘개의 이를 잡아 주는 소년’, 1655년
(27.1×34.4㎝, 알테 피나코테크, 독일 뮌헨)
(27.1×34.4㎝, 알테 피나코테크, 독일 뮌헨)
하지만 어떤 화가들은 가끔 자신이 속한 시대를 벗어나 불쑥 앞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개의 이를 잡아 주는 소년’은 소재를 다루는 방식이 너무나 근대적이어서 19세기 그림이라 해도 믿을 것 같다. 통나무로 만든 옆 테이블에 공책과 펜대가 놓인 것으로 보아 소년은 학생이나 상인의 도제인 듯하다. 그는 하던 일을 멈추고 개의 이를 잡는 데 골몰하고 있다. 고개를 수그리고 있어서 표정은 보이지 않는다. 앞쪽에 비스듬히 놓인 탁자는 인상주의 화가 드가를 연상하게 만든다. 이 그림의 진정한 주인공, 이 그림의 생명점은 관객을 향한 개의 눈동자다. 어린 주인에게 몸을 맡긴 개는 눈을 들어 관객을 바라보며 “왜 우리를 방해하느냐?”라고 묻는 듯하다.
개는 약방의 감초처럼 회화에 자주 등장하지만, 이 그림 이전에는 신뢰를 나타내는 알레고리이거나 장면을 활기 있게 해 주는 액세서리로 활용됐을 뿐이다. 헤나르트 테르보르흐는 개에게 감정을 불어넣고 이를 잡아 주는 행위를 통해 소년과 개 사이의 친밀함과 애정을 묘사한다.
누구에게나 이 비슷한 순간이 있다. 이 그림을 보면 나는 우리 애가 어릴 때 귀지를 파 주던 생각이 난다. 이를 잡아 주거나 귀지를 파 주는 일에는 애정 행위의 내밀함이 있다. 무릎에 얹힌 따스한 머리, 만두피처럼 보드라운 귀, 조심조심 귀지를 끌어낼 때의 쾌감. 따스한 개를 안고 이를 잡아 주는 저 소년도 그럴 것이다. 하찮은 일상사지만 그 하찮음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영원한 행위. 덧없어서 행복한 그 순간들.
2022-12-1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