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슐레머, ‘바우하우스의 계단’, 1932년
(162.3×114.3㎝, 현대미술관, 미국 뉴욕)
(162.3×114.3㎝, 현대미술관, 미국 뉴욕)
14년 내내 정치는 혼란 그 자체였다. 우파에게는 공화국 정부가 완전 빨갱이였고, 노동자들에게는 지나치게 온건한 부르주아 정권이었다. 양쪽은 피 터지게 싸우고 서로 비방했으며, 다 같이 정부를 공격하고 불만을 품었다. 경제도 엉망이었다. 패전으로 독일은 해외 식민지를 전부 잃었고,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짊어졌다. 미국의 지원을 받아 회복을 꾀했으나 대공황의 여파로 지원이 끊기면서 경제는 다시 나락으로 떨어졌다. 실망한 대중은 히틀러에게 표를 던졌다.
그러나 바이마르공화국 시대에는 이전에 없었던 사상과 학문의 자유가 있었고 덕분에 찬란한 문화가 피어났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사상과 철학, 이론물리학의 발전, 바우하우스가 현대 건축과 디자인에 던진 혁신적 개념. 20세기 인류 문명은 이 틀 위에 건설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우하우스는 바이마르공화국과 운명을 같이했다. 1919년 문을 열었고, 1933년 폐교됐다. 초대 교장으로 부임한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는 예술가와 공예가 사이의 ‘오만한 계급 격차’를 없애고, ‘대성당이 아니라 삶을 위한 기계’를 만들겠다는 기치를 내걸고 헌신했으나 뜻을 펼치기에는 시간이 너무 짧았다.
1925년 바이마르에 우파 정부가 들어서자 바우하우스는 쫓겨나서 데사우로 이사했다. 1932년 데사우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나 베를린으로 옮겼으나 다음해 나치가 정권을 잡으면서 ‘빨갱이와 유대인, 외국인 교수가 우글거리는’ 바우하우스는 폐교됐다.
이 학교 교수였던 오스카 슐레머가 그린 ‘바우하우스의 계단’은 데사우 바우하우스에 안녕을 고하는 작품이다. 학생들이 그로피우스가 설계한 모던한 교사의 계단을 오르고 있다. 단순하게 추상화된 인물들은 우아하고 유머러스하다. 그러나 학생들은 등을 돌리고 우리에게서 급히 멀어지고 있다. 한 명만 이쪽을 향해 서 있다. 희망은 이다지도 가녀린 것일까?
2022-02-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