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불행이나 행복 앞에서 날뛰지 않기/미술평론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불행이나 행복 앞에서 날뛰지 않기/미술평론가

입력 2022-01-04 20:50
수정 2022-01-05 01: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피터르 더 호흐, ‘델프트의 어느 집 안뜰’, 1658년 (73.5×60㎝,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피터르 더 호흐, ‘델프트의 어느 집 안뜰’, 1658년
(73.5×60㎝,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17세기 중반 네덜란드 델프트의 어느 집 안뜰이다. 왼쪽에는 집 건물의 일부분이 보이고, 오른쪽에는 건물과 담장 사이의 공간이 있다. 지지대를 타고 뻗은 나뭇가지가 지붕을 이루고 있는 이 공간은 두어 개의 얕은 계단으로 안뜰과 연결된다. 포석이 깔린 안뜰은 말끔하다. 빗자루와 그 옆에 있는 양동이가 누군가 방금 비질을 했음을 말해 준다.

고요한 오후의 햇살이 비치고 있다. 아치와 연결된 통로에는 한 여인이 밖을 내다보고 서 있다. 오른쪽 공간에서는 한 여인이 어린 여자아이의 손을 잡고 계단을 내려오는 중이다. 여인은 한쪽 팔에 큰 접시를 끌어안고 있고, 아이는 앞치마 안에 무언가를 감싸 들고 있다. 아이는 여인을 쳐다보며 뭔가 이야기하고, 여인은 몸을 틀어서 아이를 내려다본다.

평범한 장면이지만 들여다보고 있자면 호기심이 모락모락 일어난다. 통로의 여인은 누굴 기다리는 것일까? 아니면 밖에서 벌어진 어떤 일을 구경하는 것일까? 여자아이는 앞치마 속에 무엇을 감싸 들고 있을까? 여인이 손에 든 접시에는 뭐가 담겨 있을까? 이 여인과 여자아이는 모녀 사이일까? 아니면 이 여인은 하녀이고, 좀더 잘 차려입은 통로의 여인이 어머니일까?

이 장면은 현실적인 동시에 비현실적이다. 정확하고 꼼꼼한 세부, 은은한 빛의 유희는 이 장면이 눈앞에 펼쳐져 있는 느낌을 주지만, 이 공간에 영원히 갇힌 채 동작이 정지된 인물들은 비현실감을 자아낸다. 통로의 여인은 한없이 밖을 내다보고, 계단을 내려오는 여인은 아이를 바라보면서 몽상에 빠져 있다. 꿈꾸는 듯한 아름다움이 일상성을 녹여 버린다.

17세기 네덜란드의 풍속화는 가정의 행복과 그 속에서 여성의 역할이라는 도덕적 목적에 바쳐지지만 아름다움은 이렇게 도덕을 넘어선다.

솔직히 말해 일상은 즐겁지도 아름답지도 않다. 오히려 자주 지겹고, 벗어나고 싶다. 호흐는 아름다움을 ‘창조하지’ 않았다. 그는 일상 속에 존재하는 아름다움을 ‘찾아내고’ 우리 또한 그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코로나가 좀처럼 물러나질 않고 있다. 새해를 맞아 불행이나 행복 앞에 날뛰지 않고 일상을 받아들이리라 마음먹는다.
2022-01-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