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르 더 호흐, ‘델프트의 어느 집 안뜰’, 1658년
(73.5×60㎝,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73.5×60㎝,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고요한 오후의 햇살이 비치고 있다. 아치와 연결된 통로에는 한 여인이 밖을 내다보고 서 있다. 오른쪽 공간에서는 한 여인이 어린 여자아이의 손을 잡고 계단을 내려오는 중이다. 여인은 한쪽 팔에 큰 접시를 끌어안고 있고, 아이는 앞치마 안에 무언가를 감싸 들고 있다. 아이는 여인을 쳐다보며 뭔가 이야기하고, 여인은 몸을 틀어서 아이를 내려다본다.
평범한 장면이지만 들여다보고 있자면 호기심이 모락모락 일어난다. 통로의 여인은 누굴 기다리는 것일까? 아니면 밖에서 벌어진 어떤 일을 구경하는 것일까? 여자아이는 앞치마 속에 무엇을 감싸 들고 있을까? 여인이 손에 든 접시에는 뭐가 담겨 있을까? 이 여인과 여자아이는 모녀 사이일까? 아니면 이 여인은 하녀이고, 좀더 잘 차려입은 통로의 여인이 어머니일까?
이 장면은 현실적인 동시에 비현실적이다. 정확하고 꼼꼼한 세부, 은은한 빛의 유희는 이 장면이 눈앞에 펼쳐져 있는 느낌을 주지만, 이 공간에 영원히 갇힌 채 동작이 정지된 인물들은 비현실감을 자아낸다. 통로의 여인은 한없이 밖을 내다보고, 계단을 내려오는 여인은 아이를 바라보면서 몽상에 빠져 있다. 꿈꾸는 듯한 아름다움이 일상성을 녹여 버린다.
17세기 네덜란드의 풍속화는 가정의 행복과 그 속에서 여성의 역할이라는 도덕적 목적에 바쳐지지만 아름다움은 이렇게 도덕을 넘어선다.
솔직히 말해 일상은 즐겁지도 아름답지도 않다. 오히려 자주 지겹고, 벗어나고 싶다. 호흐는 아름다움을 ‘창조하지’ 않았다. 그는 일상 속에 존재하는 아름다움을 ‘찾아내고’ 우리 또한 그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코로나가 좀처럼 물러나질 않고 있다. 새해를 맞아 불행이나 행복 앞에 날뛰지 않고 일상을 받아들이리라 마음먹는다.
2022-01-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