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웨딩드레스는 어떻게 흰색이 되었나/미술평론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웨딩드레스는 어떻게 흰색이 되었나/미술평론가

입력 2021-06-15 17:18
수정 2021-06-16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에드먼드 라이턴 ‘결혼 등록’, 1920년 (91.4×118.5㎝, 브리스톨 시립 미술관, 영국 브리스톨)
에드먼드 라이턴 ‘결혼 등록’, 1920년
(91.4×118.5㎝, 브리스톨 시립 미술관, 영국 브리스톨)
시청에서 결혼식을 올린 커플이 결혼 등록부에 서명을 하고 있다. 신부는 흰색 웨딩드레스를 입고 머리에는 오렌지꽃 화관과 베일을 썼다. 흰 바지와 흰 셔츠, 검은색 재킷을 입은 신랑은 톱해트를 손에 들고 신부가 서명하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 한 세기 전의 그림이지만, 신부의 모습은 지금과 다름이 없다.

혼례가 가지는 의미는 시대와 종족에 따라 다르다. 어떤 문화에서는 결혼을 여성이 어린 시절과 작별하고 자신이 자라온 환경에서 유리되는 것으로 생각해 애도하는 방식으로 결혼 의식을 치른다. 어떤 문화든 혼례를 사회적으로 공식화하는 점은 같지만, 요즘 젊은이들은 옛날처럼 획일적인 결혼식을 그대로 수용하지는 않는다. 주례를 생략하기도 하고, 신랑과 신부가 함께 손잡고 입장하기도 한다. 코로나라는 괴변은 하객이 없는 결혼식을 낳기도 했다. 그래도 변함없는 것은 신부의 순백색 웨딩드레스가 아닐까 한다.

19세기 중반까지는 웨딩드레스 색이 다양했다. 부유층은 황금색, 푸른색 등으로 드레스를 지어 입었고, 보통 사람들은 가지고 있는 옷 중에서 색깔과 상관없이 제일 좋은 옷을 골라 입었다. 어쩌다 흰 드레스를 입은 신부들이 있었는데, 흰색이 선택된 이유는 값비쌌기 때문이었다. 깨끗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흰옷은 부와 지위의 과시였다.

19세기 후반은 산업혁명으로 물자가 흔해져서 유행이란 게 처음 생겨난 시기였다. 1840년 빅토리아 여왕은 앨버트 공과 결혼할 때 흰색 예복을 입었다. 영국인들은 여왕 부부를 낭만적으로 이상화했으며, 축복받은 가정의 모범으로 생각했다. 젊은 여성들은 판화에서 본 여왕의 패션을 모방해 흰색 웨딩드레스를 입고 오렌지꽃 화관을 쓰기 시작했다.

패션 잡지들은 이에 가세해 흰색이 신부의 순진함과 순결함을 상징한다고 역설했다. 사진술도 흰 드레스를 부추겼다. 흑백 사진에서는 흰 드레스를 입은 신부가 부각됐기 때문이다.

영국의 제국적 영토 확장과 더불어 빅토리아 여왕이 입었던 허리를 조이고 스커트를 잔뜩 부풀린 흰색 웨딩드레스도 전 세계로 퍼졌다. 오늘날 영국은 식민지를 잃고 유럽 서북쪽의 섬나라로 되돌아갔지만, 흰색 웨딩드레스의 제국은 여전하다.

미술평론가
2021-06-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