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자본주의의 초상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자본주의의 초상

입력 2021-05-18 17:24
수정 2021-05-19 03: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에드가르 드가 ‘증권거래소에서’, 1878~1879년 (100×82㎝, 오르세미술관, 프랑스 파리)
에드가르 드가 ‘증권거래소에서’, 1878~1879년
(100×82㎝, 오르세미술관, 프랑스 파리)
인상주의의 주제인 근대 도시의 삶을 다룬 것처럼 보이지만 이 그림은 사실 초상화로 그려졌다. 똑같은 차림을 한 남자들이 화면에 가득하다. 얼굴이 확실히 보이는 사람은 가운데 있는 에르네스트 메이뿐이다. 서른네 살에 은행장 자리에 오른 인물로 성공을 과시하기 위해 예술 수집에 몰두했다. 드가는 동료 화가 카유보트의 소개로 메이를 만나 그의 초상화를 그리게 됐다.

인상주의 이전의 초상화는 어디라고 특정할 수 없는 공간을 배경으로 인물의 위엄이나 지위, 미모 등을 부각하는 방식이었다. 인상주의는 초상화를 풍속화 비슷하게 바꿔 놓았다. 인상주의 이론가 뒤랑티는 초상화란 그의 직업적 환경이나 그가 살아가는 터전 속에서 그 인물의 심리와 성격을 나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그림은 그러한 이론의 실제 적용 사례다.

메이는 동업자와 함께 증권거래소에서 투자 업무를 보는 중이다. 메이의 은행은 상업은행이 아니라 이때 처음 등장한 투자은행이었다. 산업이 발달하고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예금을 맡아 주고 어음을 처리하는 전통적인 은행의 업무를 뛰어넘어 공격적으로 투자처를 물색하고 산업 자금을 조성하는 새로운 은행이 출현했다. 메이의 은행은 몇 년 뒤 에펠탑 건설 자금 조성에 뛰어들어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증권거래소의 메인 홀은 코르베유라 불린 원형 공간과 그 외부로 나뉘어 있었다. 펜스로 둘러쳐진 코르베유 안에서는 국가의 공인을 받은 중개인들이 주문을 처리했고, 투자자들은 코르베유 바깥 공간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주문을 냈다. 이 바깥 공간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를 유도하는 중개인들이 따로 있었다.

코안경을 낀 메이는 중개인이 제시하는 표를 들여다보고 있다. 같이 온 동업자도 메이의 어깨에 손을 짚고 표를 들여다보는 데 열중하고 있다. 메이를 제외한 사람들의 얼굴은 뭉개진 듯 불분명하게 처리돼 있는데 그것이 오히려 증권거래소의 분주한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왼쪽 기둥 뒤에도 비슷한 무리가 있다. 이들의 음험한 인상은 화가가 이 바삐 돌아가는 자본주의의 심장에 썩 좋은 감정을 품지는 않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미술평론가
2021-05-1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