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기록하고 공감하는 예술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기록하고 공감하는 예술

입력 2021-01-26 17:20
수정 2021-01-27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블라디미르 마콥스키 ‘기다림’, 1875년 (83×122㎝,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러시아 모스크바)
블라디미르 마콥스키 ‘기다림’, 1875년
(83×122㎝,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러시아 모스크바)
1861년 차르 알렉산드르 2세는 귀족의 토지에 매인 농노를 해방했다. 전근대적인 농노 제도의 철폐는 역사적 당위였으나 해방된 농민의 사회통합 방책이 미비한 상태에서 졸속으로 이루어진 개혁은 혼란을 가져왔다. 땅 한 뙈기 없는 농민들은 전보다 더 극심한 빈곤에 시달렸다. 농민의 참상을 목격한 진보적 지식인들은 농민 속으로 들어가 이들을 교육하고 농촌을 개선하자는 브나로드운동을 일으켰다.

미술도 이에 반응했다. 1871년 젊은 예술가들은 아카데미의 전통을 거부하며 이동파를 결성했다. 이동파는 주제와 전시 방식 모두를 혁신했다. 브나로드운동에 동조해 농민의 일상생활과 러시아의 자연을 주제로 삼았으며, 이름 그대로 지방 도시를 돌아다니며 전시회를 열어 관객에게 다가가고자 했다.

마콥스키는 1872년 이동파에 가담했다. 그는 뚜렷한 현실 인식을 지닌 사람이었다. 하지만 검열제도가 엄존했기 때문에 사회 비판은 조심스럽게 수위를 조절해야 했다. 이 그림의 첫인상은 한마디로 ‘춥다’. 세상은 눈으로 덮여 있고, 누런 건물 앞에 모여 있는 사람들은 옷을 덕지덕지 껴입고 숄, 모자 등을 뒤집어쓰고 있다. 문기둥 위쪽 아치에 쓰인 글씨가 이곳이 감옥임을 말해 준다. 이 사람들은 왜 감옥 앞에 모여 있을까?

이 부분에서 역사적 배경이 개입한다. 이들은 시베리아로 유형을 떠나는 죄수에게 작별 인사를 하려고 기다리는 가족들이다. 각자 죄수에게 전해 줄 보퉁이를 지니고 초조하게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중이다. 가운데 있는 세 사람(관객을 향하고 서 있는 남자와 그 옆의 두 여인)은 말쑥한 차림새로 그 옆의 누추한 농민들과 구분된다. 브나로드운동에 뛰어들었던 중산층 젊은이는 정치범으로 체포돼 정당한 재판도 받지 못하고 시베리아 유형을 갔다. 이 가족의 아들도 아마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이들이 기다리는 죄수들은 무슨 죄를 저질렀을까? 불순분자일까? 테러리스트일까? 아니면 사법제도의 희생자일까? 그림은 거기까지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가가 이들에게 공감을 표시하고 관객에게도 동의를 구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미술평론가
2021-01-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