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마콥스키 ‘기다림’, 1875년
(83×122㎝,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러시아 모스크바)
(83×122㎝,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러시아 모스크바)
미술도 이에 반응했다. 1871년 젊은 예술가들은 아카데미의 전통을 거부하며 이동파를 결성했다. 이동파는 주제와 전시 방식 모두를 혁신했다. 브나로드운동에 동조해 농민의 일상생활과 러시아의 자연을 주제로 삼았으며, 이름 그대로 지방 도시를 돌아다니며 전시회를 열어 관객에게 다가가고자 했다.
마콥스키는 1872년 이동파에 가담했다. 그는 뚜렷한 현실 인식을 지닌 사람이었다. 하지만 검열제도가 엄존했기 때문에 사회 비판은 조심스럽게 수위를 조절해야 했다. 이 그림의 첫인상은 한마디로 ‘춥다’. 세상은 눈으로 덮여 있고, 누런 건물 앞에 모여 있는 사람들은 옷을 덕지덕지 껴입고 숄, 모자 등을 뒤집어쓰고 있다. 문기둥 위쪽 아치에 쓰인 글씨가 이곳이 감옥임을 말해 준다. 이 사람들은 왜 감옥 앞에 모여 있을까?
이 부분에서 역사적 배경이 개입한다. 이들은 시베리아로 유형을 떠나는 죄수에게 작별 인사를 하려고 기다리는 가족들이다. 각자 죄수에게 전해 줄 보퉁이를 지니고 초조하게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중이다. 가운데 있는 세 사람(관객을 향하고 서 있는 남자와 그 옆의 두 여인)은 말쑥한 차림새로 그 옆의 누추한 농민들과 구분된다. 브나로드운동에 뛰어들었던 중산층 젊은이는 정치범으로 체포돼 정당한 재판도 받지 못하고 시베리아 유형을 갔다. 이 가족의 아들도 아마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이들이 기다리는 죄수들은 무슨 죄를 저질렀을까? 불순분자일까? 테러리스트일까? 아니면 사법제도의 희생자일까? 그림은 거기까지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가가 이들에게 공감을 표시하고 관객에게도 동의를 구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미술평론가
2021-01-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