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직접 가 보진 않았지만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직접 가 보진 않았지만

입력 2020-04-21 17:24
수정 2020-06-03 09: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앙리 루소, ‘사자의 식사’, 1907년 (44 3/4×63 in,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미국 뉴욕)
앙리 루소, ‘사자의 식사’, 1907년
(44 3/4×63 in,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미국 뉴욕)
‘나이브 아트’는 제도권 교육을 받지 못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가리키는 말이다. 20세기 초 독일 비평가이자 수집가인 빌헬름 우데가 루소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 루소는 미술학교에 다니거나 유명 화가에게 개인 교습을 받은 적이 없었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중등교육도 끝마치지 못했고, 아버지를 여읜 후에는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일을 해야 했다. 그는 파리로 반입되는 주류를 검사하고 세금을 매기는 세관의 하급직을 얻었다. 일과를 마친 후 그림을 그려 마흔두 살 때 처음으로 전시회에 그림을 출품했다. 심사를 거쳐야 하는 살롱전은 엄두도 못 냈고, 회비만 내면 누구라도 작품을 전시하게 해 주는 앙데팡당 전에 참여했다. 여기서도 그의 작품은 비웃음만 샀다. 그래도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작품을 냈다.
이미지 확대
이미혜 미술평론가
이미혜 미술평론가
1891년 폭풍우가 몰아치는 열대 우림 속에서 호랑이가 겁에 질려 있는 장면을 그려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원근법은 엉터리였지만 식물과 호랑이가 너무 실감 나서 사람들은 루소가 열대지방에 가 본 게 틀림없다고 믿었다.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지만, 루소는 열대지방에 가 본 일이 없었다. 파리 식물원을 드나들면서 동식물을 관찰하고 엽서며 잡지에 실린 도판을 연구한 게 전부였다. 파리 식물원은 동물원과 자연사 박물관을 갖추고 있어서 큰 도움이 됐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루소의 상상력이었다.

밀림 속에서 사자가 얼룩무늬 치타를 잡아먹고 있다. 무성하게 자란 풀과 나무 때문에 주인공인 사자는 잘 보이지 않는다. 사자는 사람처럼 곧추선 자세로 희생물을 움켜쥐고 있다. 선연한 피가 뿜어나온다. 언덕 위에 해가 있지만, 햇빛은 밀림 속을 비추지 못한다. 수북하게 핀 흰 꽃, 가지가 휘도록 매달린 노란 꽃이 확대경을 갖다 댄 것처럼 크고 정밀하게 그려져 신비함과 이국적 정취를 더해 준다.

루소는 마흔아홉 살에 세관 관리직을 그만두고 전업 화가가 됐다. 몽파르나스에 작은 작업실을 얻어 쥐꼬리만 한 연금으로 생활하며 그림을 그렸다. 사람들은 19세기 풍경화가 테오도르 루소와 구별하기 위해 그에게 ‘세관원 루소’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어린이처럼 단순하면서도 환상적인 그림은 아폴리네르, 피카소 등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미술평론가

2020-04-2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