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대량생산 대량살상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대량생산 대량살상

입력 2019-06-18 17:40
수정 2019-06-19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크리스토퍼 네빈슨, ‘타우데’, 1916년 (63.8×76.6㎝, 전쟁 박물관, 영국 런던)
크리스토퍼 네빈슨, ‘타우데’, 1916년 (63.8×76.6㎝, 전쟁 박물관, 영국 런던)
폭격 흔적이 역력한 거리에 한 어린아이가 쓰러져 죽어 있다. 제1차 세계대전에 의무병으로 참전했던 네빈슨은 프랑스 북부에서 목격한 광경을 그림으로 옮겼다. 이 그림의 제목인 ‘타우베’는 독일 전투 비행기의 이름이다. 타우베는 독일어로 비둘기라는 뜻이다.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가 살인 무기가 된 것이다. 화가는 죽은 아이를 날개 다쳐 추락한 새처럼 보이게 그림으로써 이 단어의 이중성을 드러낸다.

20세기의 대량생산 경제는 전쟁 양상을 이전 시대와 판이하게 만들었다. 제1차 세계대전은 기술 전쟁이자 물량 전쟁이었다. 독일군은 잠수정으로 해안을 교란하고, 항공기를 공중전에 처음 사용했다. 장거리 미사일, 생화학 무기가 사용된 것도 이 전쟁이 처음이었다. 전쟁 물자의 대량생산을 위해 역사상 전례 없는 숫자의 민간인이 군수산업에 고용됐다.

항공기가 후방의 산업시설과 민간인을 폭격하면서 후방과 전선, 시민과 병사를 가르는 구분은 무의미해졌다. 지리적 거리만 붕괴된 것이 아니었다. 통신 수단의 발달과 값싼 신문의 보급으로 후방과 전선의 심리적 거리도 좁혀졌다. 전투 소식에 대한 갈증은 신문 판매량을 치솟게 했지만, 언론 규제와 검열로 인해 사람들은 과거보다 크게 나은 정보를 얻지도 못했다. 전쟁의 위협이 시시각각 조여 오는 것 같은 압박감을 느꼈을 뿐이다.

전방과 후방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선전은 위력적인 신무기가 됐다. 영국은 각종 매체를 동원해 적을 피에 굶주린 악마로 만들었고, 자국 군대의 영웅적 행위를 찬양했다. 반면 독일은 전쟁에 반대하는 이탈자들을 가혹하게 처벌하는 방식으로 대응을 했다. 그 어느 쪽이 효율적이었는지는 역사가 말해 준다.

예술가들에게 전쟁의 참상을 표현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였다. 역겹고 잔혹한 행위를 어느 정도까지 묘사해야 하는가? 현대전을 이전 시대의 화가들처럼 영웅적인 방식으로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네빈슨은 무고한 어린아이의 죽음을 통해 전쟁의 비정함과 잔인함을 에둘러 고발하고 관객의 정서에 호소한다. 1916년의 관객들은 이 그림을 보고 적에 대한 증오를 다졌을까? 내게는 이렇게 말하는 것 같다. “전쟁에 반대한다.”

미술평론가
2019-06-1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