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보볼리 정원에서 본 피렌체 정경’, 1835년
(51×73.5㎝, 루브르 미술관, 프랑스 파리)
(51×73.5㎝, 루브르 미술관, 프랑스 파리)
건축 사업단은 상금을 걸고 방안을 모집했다. 많은 건축가, 기술자들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의 안이 채택됐다. 로마에서 고대 건축의 궁륭 구조를 연구하고 돌아온 브루넬레스키는 돔 공사의 적임자였다. 그는 갖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16년 만에 돔을 올리는 데 성공했다. 설계부터 시작해 작업에 필요한 기계를 발명하고, 공사 중 일어나는 예상치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적수들의 비방을 견뎌야 했던 나날들이었다.
흰색과 녹색 대리석을 입힌 우아한 건물, 거대하지만 절도 있는 오렌지색 돔은 곧 피렌체의 상징이 됐다. 그러나 이 높이 솟은 돔은 벼락에 취약했다. 이틀이 멀다 하고 벼락이 대성당의 돔을 강타했다. 1492년에는 돔 북면의 대리석이 거리로 와르르 쏟아질 정도였다. 피렌체 북쪽 별장에 앓아 누워 있던 로렌초 데 메디치가 이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아 병세가 악화돼 죽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17세기에는 돔 내벽의 프레스코화를 가로지르는 균열이 발생했다. 논란이 벌어졌으나 원인을 밝힐 수 없었다. 20세기 후반 열 측정기를 동원해 조사한 결과 돔 내부에 삽입된 철제 지지대가 팽창하면서 습기가 스며들고 철봉에 녹이 슬어 균열이 일어났음을 알아냈다. 현재 대성당 주변에는 청소차를 제외한 모든 차량의 진입이 금지돼 있다. 이 아름답고 경이로운 건축물이 1~2년 사이에 어찌 되기야 하겠냐마는 세상에 아름다운 것들이 얼마나 오래 남을까?
2019-03-13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