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저 들판의 푸른 전나무처럼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저 들판의 푸른 전나무처럼

입력 2018-12-25 17:22
수정 2018-12-26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눈 덮인 벌판에 전나무 두 그루가 서 있고, 뿌연 안개 속에 성당의 탑이 솟아 올라 있다. 뾰족한 전나무와 고딕식 탑이 대응을 이룬다. 왼편에 연한 보랏빛이 번지고, 하늘에 불그레한 구름이 떠 있다. 이른 새벽인 것 같다.
이미지 확대
카스파 다비트 프리드리히, ‘성당이 있는 겨울 풍경’, 1811년 (32.5X45㎝,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카스파 다비트 프리드리히, ‘성당이 있는 겨울 풍경’, 1811년
(32.5X45㎝,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건축 제도사로 경력을 시작한 프리드리히는 꼼꼼한 드로잉 솜씨를 발휘해 성당의 건축적 형태와 전나무의 바늘잎을 묘사했다. 색채는 절제했다. 흰색과 청색, 약간의 붉은색을 썼을 뿐이다. 코발트, 프러시안블루 같은 합성 안료가 널리 쓰이고 있었으나 프리드리히는 의도적으로 가라앉은 전통적 청색을 택했다. 미묘한 붓 터치가 화면에 빛을 흩뿌리고 눈가루를 날리게 한다.

이 그림은 그저 고요한 겨울 풍경화가 아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무에 십자가가 걸려 있다. 그 앞의 바위에는 한 남자가 기대앉아 두 손을 기도하는 자세로 모으고 있다. 눈 위에는 이 남자가 짚고 온 목다리가 내팽개쳐져 있다. 그는 죽을 자리를 찾아 이곳까지 걸어온 듯하다.

프리드리히가 이 그림을 그리던 때는 독일 민족주의가 일어나던 시기였다. 독일 지역은 중세 이래 여러 군주 국가들로 나뉘어 있었고, 이들은 이해관계에 따라 이합집산을 거듭했다. 프랑스대혁명이 일어나자 경쟁 관계이던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동맹을 맺고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했다. 그러나 나폴레옹 군은 강했다. 오스트리아는 그때까지 지배해 온 이탈리아의 영토를 거의 잃었고, 프로이센은 수도 베를린을 점령당하고 나라가 아예 없어질 뻔했다.

이러한 위기는 독일인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독일이란 무엇인가, 독일인은 누구인가” 하는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다. 예술가들도 독일적인 것을 찾기 시작했다. 이 그림에서 고딕 성당은 종교적 상징이라기보다는 독일의 중세적 전통을 환기하는 존재다. 우울증에 시달렸던 프리드리히의 그림은 대체로 침울하지만 이 시기에는 더욱 침울해졌다. 바위에 기대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사람은 왜소하고 절망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시대 시인 노발리스가 말했듯이 “삶과 죽음은 아주 가까이 있는 것이며, 죽음은 끝인 동시에 시작이다”. 푸른 전나무는 생명력의 상징이다. 원통한 죽음이 많았던 한 해가 저물고 있다. 곧 새로운 해가 떠오를 것이다.

2018-12-26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