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 들로네, ‘에펠탑’ 또는 ‘샹드마르스, 붉은 탑’, 1910~1914년(160.7x128.6㎝,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한국에서도 타종으로 시간을 알렸다. 특히 조선 시대 기상청인 서운관의 관리는 물시계를 보고 일정한 간격으로 종을 쳐야 했다.
단일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 것은 철도의 등장 때문이었다. 지역마다 제각각 다른 시간은 철도의 효율성을 저하시켰고, 철도회사의 이익을 갉아먹었다. 이 때문에 정부보다도 철도회사가 표준시 수립에 앞장섰다. 영국은 1855년, 미국은 1883년에 표준시를 채택했다. 프랑스 철도는 자존심을 내세워 1890년대까지 그리니치 시간보다 9분 21초가 빠른 파리 시간을 사용했다.
전 세계적으로 시간을 단일화해야겠다는 생각은 1880년대에 대두했다. 무선전신이 발명되면서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는 일을 그 즉시 인식하게 됐고, 지구적 시간을 확정하는 일이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1912년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시간회의가 개최됐다. 참석한 사람들은 정확한 시간을 정의하고, 그것을 세계로 전송하는 방식을 논의했다.
1913년 7월 1일 오전 10시 에펠탑이 전 세계를 향해 최초의 시보를 발신했다. 에펠탑은 파리 천문대의 시간을 받아 전 세계에 있는 8군데 기지국으로 전송했다. 인류는 좋든 싫든 단일한 시간으로 휩쓸려 들어갔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마르셀 프루스트, 제임스 조이스 같은 작가가 왜 그렇게 시간의 흐름이라는 문제에 집착했는지 이해가 간다.
미술에서도 이 시기에 커다란 변혁이 일어났다. “무엇을 그렸는가?” 하는 지시 대상이 사라지고 선·면·색으로만 이루어진 추상미술이 등장하는 것이다.
추상미술의 선구자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랑스 화가 로베르 들로네가 그린 ‘에펠탑’ 또는 ‘샹드마르스, 붉은 탑’이라 부르는 그림이다. 입체파에서 추상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볼 수 있다.
미술평론가
2018-08-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