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방이라도 눈이 내릴 듯하다.”
“추웠다 풀렸다 변덕이 죽 끓듯 하는 날씨가 며칠 동안 이어지고 있다.”
위 문장 속 ‘듯’과 ‘하다’는 왜 ‘듯하다’와 ‘-듯 하다’로 다르게 쓰였을까.
우리말에는 ‘듯’과 ‘하다’가 이어지는 구성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비가 온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처럼 관형형 어미 ‘-ㄴ, -ㄹ’의 뒤에 오면서 추측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이럴 때 ‘듯하다’는 하나의 보조 용언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비슷한 말인 ‘듯싶다’도 마찬가지다.
다른 하나는 어미 ‘듯’이 동사의 어간 다음에 쓰인 뒤 ‘하다’가 이어지는 형태다. ‘하다’는 어미 뒤에 오는 요소가 아니므로 ‘듯’과 띄어 써야 한다. “변덕이 죽 끓듯 하다”, “땀이 비 오듯 하다”처럼 비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이때 ‘듯’은 ‘-듯이’의 준말이다. ‘-듯이’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한데 ‘-ㄹ’ 뒤에 오는 ‘듯하다’를 모두 붙여 쓰는 건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의존명사 ‘듯’의 네 번째 풀이에는 ‘행동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것처럼 보임’의 뜻을 나타낼 때는 ‘-ㄹ 듯 ㄹ 듯 하다’ 구성으로 ‘듯 하다’를 띄어 쓴다고 돼 있다. ‘끊어질 듯 끊어질 듯 하며 이어지는’처럼 쓴다는 얘기다. 이 설명이 ‘듯하다’를 더 헷갈리게 만든다.
“추웠다 풀렸다 변덕이 죽 끓듯 하는 날씨가 며칠 동안 이어지고 있다.”
위 문장 속 ‘듯’과 ‘하다’는 왜 ‘듯하다’와 ‘-듯 하다’로 다르게 쓰였을까.
우리말에는 ‘듯’과 ‘하다’가 이어지는 구성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비가 온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처럼 관형형 어미 ‘-ㄴ, -ㄹ’의 뒤에 오면서 추측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이럴 때 ‘듯하다’는 하나의 보조 용언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비슷한 말인 ‘듯싶다’도 마찬가지다.
다른 하나는 어미 ‘듯’이 동사의 어간 다음에 쓰인 뒤 ‘하다’가 이어지는 형태다. ‘하다’는 어미 뒤에 오는 요소가 아니므로 ‘듯’과 띄어 써야 한다. “변덕이 죽 끓듯 하다”, “땀이 비 오듯 하다”처럼 비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이때 ‘듯’은 ‘-듯이’의 준말이다. ‘-듯이’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한데 ‘-ㄹ’ 뒤에 오는 ‘듯하다’를 모두 붙여 쓰는 건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의존명사 ‘듯’의 네 번째 풀이에는 ‘행동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것처럼 보임’의 뜻을 나타낼 때는 ‘-ㄹ 듯 ㄹ 듯 하다’ 구성으로 ‘듯 하다’를 띄어 쓴다고 돼 있다. ‘끊어질 듯 끊어질 듯 하며 이어지는’처럼 쓴다는 얘기다. 이 설명이 ‘듯하다’를 더 헷갈리게 만든다.
2021-11-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