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 코앞이다. 코로나19로 예전만은 못하지만 그래도 추석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추석을 일컫는 말은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등 무척 다양하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中秋), 종추(終秋)로 나눴을 때 추석이 음력 8월 중추에 해당돼 붙은 이름이다. 한가위는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가위’의 구조다. ‘가배’는 ‘가운데’, ‘중간’을 뜻하는 우리말 ‘가’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보름’을 의미했다. ‘가’가 ‘가위’가 됐고 여기에 ‘많다, 크다’란 뜻을 나타내는 옛말 ‘하다’의 관형사형 ‘한’이 붙어 ‘한가위’가 됐다고 한다. 즉 한가위는 ‘큰 보름’을 뜻하는 것이다.
‘한가위’의 ‘한’은 흔적이 남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우선 ‘큰’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한걱정, 한길, 한시름 등에 쓰였다. 한걱정은 큰 걱정, 한길은 큰길, 한시름은 큰 시름을 뜻한다.
다음으로 ‘정확한’ 또는 ‘한창인’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다. 한가운데, 한겨울, 한낮, 한물, 한밤중, 한복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마지막은 ‘같은’이란 뜻으로 한날, 한시, 한동네, 한배, 한집, 한통속, 한패 등에 쓰였다. 원래는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었으나 ‘같다’란 의미로 뜻이 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추석을 일컫는 말은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등 무척 다양하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中秋), 종추(終秋)로 나눴을 때 추석이 음력 8월 중추에 해당돼 붙은 이름이다. 한가위는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가위’의 구조다. ‘가배’는 ‘가운데’, ‘중간’을 뜻하는 우리말 ‘가’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보름’을 의미했다. ‘가’가 ‘가위’가 됐고 여기에 ‘많다, 크다’란 뜻을 나타내는 옛말 ‘하다’의 관형사형 ‘한’이 붙어 ‘한가위’가 됐다고 한다. 즉 한가위는 ‘큰 보름’을 뜻하는 것이다.
‘한가위’의 ‘한’은 흔적이 남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우선 ‘큰’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한걱정, 한길, 한시름 등에 쓰였다. 한걱정은 큰 걱정, 한길은 큰길, 한시름은 큰 시름을 뜻한다.
다음으로 ‘정확한’ 또는 ‘한창인’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다. 한가운데, 한겨울, 한낮, 한물, 한밤중, 한복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마지막은 ‘같은’이란 뜻으로 한날, 한시, 한동네, 한배, 한집, 한통속, 한패 등에 쓰였다. 원래는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었으나 ‘같다’란 의미로 뜻이 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021-09-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