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닷컴 버블과 엔론 사태, 재현되나/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닷컴 버블과 엔론 사태, 재현되나/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입력 2021-10-17 17:26
수정 2021-10-18 0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미국의 초대형 에너지 기업 엔론이 회계장부를 수정하기 위해 1997년에서 2000년까지 재무상태표를 재작성해야 한다고 발표한 것이 2001년 10월 16일이다. 공개적인 엔론 사태의 본격화로 그로부터 20년이 지났다. 당시 주식시장에서는 엔론에 문제가 있다고 이미 알려지기 시작하며 주가가 폭락하고 있었는데, 11월 엔론 주식은 사실상 가치 없는 휴지가 된다.

종업원 수만 명이 일하던 기업으로 유명 경영잡지에서 ‘미국의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연이어 선정되며 주목받던 곳이 회계 부정의 대명사가 된 것이다. 미국의 5대 회계법인 가운데 하나로 엔론을 회계 감사하던 아서 앤더슨(Arthur Andersen)도 이를 계기로 사실상 사라졌다. 또한 회계 부정에 대한 우려가 번지면서 2002년도에는 회계감사와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사베인스옥슬리’(Sarbanes-Oxley) 법안이 통과된다.

물론 엔론 사태는 개별 기업의 일탈과 회계법인의 책임성 결여가 합해진 것이 문제의 핵심이지만, 1990년 후반에서 2000년까지 이루어진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유동성이 회수되던 경제 환경에서 닷컴 버블 붕괴로 불안정하던 금융시장 여건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배경이다.

특히 닷컴 버블이 종말을 맞이하고 엔론 사태가 발생하던 20년 전과 비슷하게 현재도 코로나19 확산 중에 금융시장과 실물경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대규모로 공급됐던 유동성을 회수할 시점이어서 이러한 위험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금리를 낮추고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는 금융시장 환경에서는 넘치는 자금이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하고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어서 장밋빛 미래에 대한 기대만으로도 투자자금을 모을 수 있다. 이렇게 모아진 투자자금이 다시 주식에 투자되며 자본시장에서 평가되는 기업 가치를 키우는 가운데, 높아지는 주가를 보면서 다시 투자자금이 몰려들어 마치 소용돌이쳐 올라가는 먼지바람처럼 주가는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주가를 띄우는 원천인 유동성 공급이 축소될 때 올라간 주가가 무너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바로 그 시점에 닷컴 버블이 종료된 것이다.

결국 투자자는 더욱 냉정하게 기업의 미래 가치를 평가해야 할 시점이다. 아무 기업이나 투자해서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특히 유의해야 할 것 가운데 하나가 실제로 별다른 수익을 내지 않은 각종 사업이나 자회사에 투자해 놓고 발생하지 않은 미래 수익을 재무상태표에 반영해 회사의 가치를 높여 온 경우다. 당시 엔론은 이러한 목적으로 수없이 많은 특수목적법인을 만들었고, 심지어는 이들을 자신의 부채를 숨기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닷컴 버블 시대에는 현금 흐름보다 미래의 잠재적인 수익을 위해 실질적인 성과없이 거품이라도 가치를 높인다면서 막연한 낙관주의로 투자하거나 소유 구조를 바꾸는 방식으로 기업을 이끌던 방식이 풍미했는데, 이제는 그러한 기대와 시도를 끝낼 시점이라는 뜻이다. 기존 기업이 합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실질적인 시너지 없이 단순히 인수합병이라는 주식시장의 재료만으로 기업의 가치 평가를 높이던 시도는 한계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싼 자금을 끌어들여 기업 평가를 끌어올리는 방식도 이제 작동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상황을 무조건 비관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기존에는 실질적인 성과에도 충분히 평가받지 못하던 기업이 엄밀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시점이기도 하다. 다만 인수합병도 실제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하고, 현금 흐름이라는 명시적인 실적을 보여 줘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한다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성이 회수되면서 기존에 부풀어진 기업의 가치가 정상화되는 과정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금융시장의 가치가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경우 기업들은 마치 엔론 사태 때와 같이 극단적으로는 회계 정보를 조작하거나 장기적으로 기업에 손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고도 단기 실적에 초점을 두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

특히 높은 부채 비율로 원리금 상환 부담에 시달리는 기업이거나 경영진 평가가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이라면 이러한 유혹에 노출될 위험은 더욱 크다. 금리 환경이 변화하면서 닷컴 버블이 끝나고 엔론 사태로 얼룩진 20년 전 미국의 모습이 재현될 수 있는 경제 여건이 다가오고 있다.
2021-10-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