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기술 금융에도 활용
기술 자체가 승리 담보는 아냐
소비자 수요 충족이 관건
과도한 비용 부담 위험 없이
금융투자 성과 확보에 도움 돼야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메타버스는 실존하지 않아도 상상 속에 가능한 공간으로 1990년대 공상과학소설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문학적인 상상력 속에 등장했던 메타버스를 본격 도입해 대중의 인기를 크게 끌었던 작품으로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2009년 영화 ‘아바타’가 있다.
개봉 당시 3차원 가상세계 정도로 인식되던 메타버스는 최근 들어 하나의 현실이 되고 있다. 게임에서 자신의 분신인 아바타를 활용하던 전통적인 방식은 물론이고, 최근 일부 대학이 메타버스상에서 졸업식 행사를 구성한 것처럼 사회ㆍ문화 활동에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 대면접촉 위험이 증가한 코로나19 환경은 경제활동의 온라인화를 유도하는데, 그렇지 않아도 진행되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해 다양한 메타버스 활용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여러 부문에 영향을 줬는데, 특히 변화한 분야 중 하나가 금융이다. 기존에도 금융 활동은 전산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전자적인 방식으로 지급ㆍ결제가 이뤄졌고, 화폐 역시 대부분 전자기록으로 유통된다. 따라서 금융에 디지털 기술 기업이 본격 진출하며 다양한 전자적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경쟁력을 갖춰 가는 최근 움직임과 메타버스 활용 논의가 놀라운 것은 아니다.
다만 개별 산업이나 기업의 구조를 이해할 필요 때문에 표준화가 쉽지 않은 기업금융 분야는 기존 금융기관의 경험이 지닌 장점이 강해 금융에 신규 진입한 디지털 기업의 장점이 덜하지만, 다수 소비자를 상대로 비교적 단순 업무를 수행하는 소매금융 분야는 업무 표준화로 이러한 디지털 변화가 상당한 강점을 가질 수 있기도 하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본격화되며 단순 대면 업무의 필요성이 약화된 것처럼 디지털 전환과 메타버스의 이용 범위가 넓어지며 기존 금융시장에서 오프라인 업무가 대체될 가능성도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메타버스의 주된 활용은 회의나 행사, 교육 정도지만 이 자체가 새로운 금융 사업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자산관리, 개인 투자서비스 등 소비자 금융에서 메타버스가 기존의 오프라인 영업점 역할을 대체할 가능성은 크다. 예를 들어 최근 선보인 것처럼 투자 상담이나 세미나를 가상공간에서 여러 전문가와 실시간 상호 소통하며 진행하는 식이다.
최근 들어 포털을 비롯해 네트워크 플랫폼 기업과 연관된 금융회사가 주식시장에서 높이 평가를 받는 것도 메타버스를 포함해 디지털 기술 역량과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환경에서 과거 방식으로 많은 인력과 오프라인 지점망을 보유한 금융기관은 투자자에게 과중한 부채나 부담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오히려 기업 가치를 떨어뜨리는 약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기업공개에서 지점망을 갖추지 않은 인터넷전문은행에 자금이 몰리고 기존 오프라인 금융기관보다 높은 가치로 평가받는 것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많은 기술이 등장했어도 기술 자체가 시장에서의 승리를 담보하지 않았다는 점은 인식해야 한다. 지금 많은 기술 기반 금융회사들이 출범하고 시장의 관심을 받으나 옥석은 가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정보기술(IT) 혁명이 진행되던 2000년대 초반 미국에서는 많은 온라인 기반 금융 및 투자 회사가 등장했지만 대부분 사라졌고, 시간이 지나며 기존 금융기관에 기술 역량이 오히려 흡수됐다.
결국 성공의 조건은 새로운 기술 환경에서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지 여부인데, 금융시장에서 궁극적으로 성공하려면 결제 편리성을 넘어서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주어진 위험에서 실질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다. 과도한 비용 부담에 따른 위험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투자에 따른 성과를 확보할 수 있는지, 금융 메타버스를 포함해 디지털 변환이 의미를 지니려면 결국 투자수익이라는 금융의 기본 역량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은 기술 회사나 기존 금융회사 누가 주도하든지 마찬가지다.
2021-08-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