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최근 경기 회복세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져 옐런의 발언이 놀라운 것은 아니다. 다만 중앙은행 총재가 아닌 재무부 장관의 발언이라는 점은 흥미롭다. 왜냐하면 재무부 장관 같은 행정부 정책 책임자는 경기부양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중앙은행에서 경기 과열을 우려해 금리인상을 논의해도 오히려 소극적인 태도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즉 옐런의 발언은 상당히 소신 있는 내용이다.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필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옐런의 발언은 그 자체가 금리 조정 가능성을 예고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
1951년에서 1970년까지 20년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으로 활동한 윌리엄 마틴이 남긴 ‘중앙은행의 역할은 파티가 무르익어 감에 따라 펀치(음료수) 그릇을 치우는 것’이라는 명언처럼 경제 과열이 우려될 때 금리 인상 준비가 필요하다는 맥락에서 옐런의 발언을 볼 수 있다. 옐런의 이러한 소신 있는 경고는 이번만 아니다. 2015년 제로금리를 벗어나 금리를 인상하기 전에도 금리 인상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하며 시장에 경고한 바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5월 옐런은 ‘지연된 조처는 경제 과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경기가 개선된다면 올해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최초 단계의 연도가 될 수 있다’ 등 경기 회복과 함께 과열을 우려하며 일관되게 금리 인상을 시장에 경고하며 준비를 촉구했다. 그리고 마침내 미국 기준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제로 상태에서 벗어나 2015년 12월 16일 0.25%로 인상된다. 이후 2018년 12월 2.25%에 도달하기까지 3년간 여덟 번에 걸쳐 인상이 계속된다.
물론 당시와 달리 옐런은 금리를 직접 결정하는 위치에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의 미국 경기 회복은 마치 2015년 금리 인상 직전에 옐런이 시장에 신호를 보내던 때와 유사하다. 옐런의 전임자로 연준을 이끌며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미국 경제를 구했다고 평가받는 벤 버냉키 전(前) 연준 의장도 코로나19는 1929년 대공황 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다르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감염 확산이 통제되면 생각보다 빠르게 경제가 회복될 수 있어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한 금리 조정에 대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낮이 가장 길고 밤이 짧다는 하지(夏至)는 여름 햇살이 강해 빛나고 밝음을 뜻하는 ‘혁희’(赫曦)의 시점이다. 그런데 이때를 기점으로 서늘한 음기가 생긴다고 ‘혁희음생’(赫曦陰生)의 때라 칭하기도 한다. 즉 지금처럼 모두가 과열된 금융시장에서 투자 열기에 들떠 있는 ‘혁희’의 상태가 계속된다고 생각하기 쉬울 그때가 금리정책의 전환과 조정에 대한 필요성을 암시하는 ‘혁희음생’의 시점인데 지금 그때가 도래하고 있다는 뜻이다.
현재의 금융시장 과열과 불안이 보여 주는 것처럼 코로나19 진정으로 미국의 경기 회복이 빨라진다면 금리 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불가피하다. 다만 미국의 금리 상승이 곧바로 한국 정책 당국의 금리 조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금리를 인상하려면 백신 접종으로 감염 확산 통제, 경기 회복 추이, 급증한 가계부채 등이 모두 고려돼야 한다. 하지만 미국이 금리 조정을 시작하면 국제적인 자금 이동으로 한국도 금리 상승 압력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즉 우리 경기 여건의 개선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조정해야 할 수 있고, 이것이 주식시장을 비롯해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실제 시중금리는 심지어 기준금리 인상 여부와 관계없이 움직일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자산 대비 과도한 대출 등 금리 변화에 취약한 재원으로 투자한 경제주체가 있다면 특히 이자율 관련 위험 관리에 보다 주의할 시점임을 옐런은 경고하고 있다.
2021-05-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