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린 문화체육부 차장
변화는 또 있다. 호암미술관을 찾는 이들은 수려한 자연 정경을 품은 전통정원 ‘희원’에서 산책하거나 소풍을 즐기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미술관은 그 뒤에 눈요기로 들러 보는 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관람객들의 발길은 아예 처음부터 미술관에 방점이 찍혀 있다고 한다. 미술관 측은 “이런 변화만 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자부했다.
‘이런 변화’를 일으킨 건 전시 주인공의 힘이다. 작품 가격이 높고 개인 소장자들이 많아 작품을 한데 모으기 어려운 김환기(1913~1974) 화백. 그의 작품 120여점과 작가의 수첩, 편지, 화구, 스크랩북 등 개인 자료 100여점을 유기적으로 집결시킨 드문 자리이기 때문이다.
‘김환기’라는 이름은 대중과 그리 가깝지 않았다. 국내 미술품 최고 경매가 10점 가운데 9점을 차지하는 ‘한국에서 가장 비싼 화가’라는 단편적이고 말초적인 수사가 주로 붙어 왔기 때문이다.
전시는 이런 작가의 맨얼굴과 전면점화 추상으로 나아가게 된 작품 세계 전모(全貌)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게 했다. 효과적인 기제가 된 건 그가 그림만큼이나 성실히 써 온 일기다. 진솔하고 간결한 문장으로 그날그날의 감정과 일과를 담은 일기는 작품과 긴밀하게 어우러져, 휘청이면서도 스스로를 견고히 다잡아 나갔던 작가의 내면 풍경을 펼쳐 낸다.
“이번에 나에게도 눈먼 행운이 올까”(1970년 1월 1일)라고 회의하는가 하면, “좋은 그림 그릴 자신이 있고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세상은 왜 이리 적막할까”(1965년 1월 2일)라며 허무해한다. 그러면서도 “나대로의 그림대로 밀고 가자”(1960년 1월 25일)”, “고생하며 예술을 지속한다는 것은 예술로 살 수 있는 날이 있을 것을 믿기 때문”(1970년 1월 12일)이라고 자신을 부단히 독려한다.
숨을 거두기 한 달여 전 쓴 일기와 그림 앞에서는 죽음으로 스러질 것을 예감한 순간에도 끝내 놓지 않았던 예술에의 꿈과 의지에 뭉클해지고 만다.
“죽을 날도 가까워 왔는데 무슨 생각을 해야 되나. 꿈은 무한하고 세월은 모자라고.”(1974년 6월 16일) 바로 다음날 일기에는 새 작품명(#377)이 간명히 적혀 있다. 생의 끝을 미리 건너다보고도 새로운 작품 작업에 돌입한 것이다.
전시를 기획한 태현선 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이 “작가의 일기를 보고 감정이입이 돼 눈물이 났다는 관람객들이 많다”고 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작품 가격으로 압도됐던 작가의 삶에서 일상에서 분투하는 나를 발견하게 되는 공감, 혹평에 분노하면서도 스스로 혁신하며 작법을 바꿔 나가고 죽음 앞에서도 굳건한 작가정신에 느끼는 숭고함….
불안, 좌절, 체념 등으로 혼란해하면서도 자기 확신, 자신의 작업과 예술에 대한 믿음, 죽음마저 극복해 내는 투지 등으로 매 순간 앞으로 앞으로 나아간 그의 궤적들은 ‘분투하는 시간’과 그 가치를 되짚어 보게 한다. 거장이 점화에서 하늘 끝에 닿고자 했던 선(線), 별만큼 빛나려 했던 점(點)이 각자의 자리에서 분투하는 이들을 향한 응원으로 들렸던 이유다.
“우리들은 정말 예술과 싸우고 있는 것이오. 투쟁의 실감, 현실의 실감, 예술의 실감-이 얼마나 소중한 실감이 아니겠소.”(1953년 ‘파리에 보내는 편지’에서)
2023-07-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