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하 문화체육부 차장
보통 사람이 사는 동안 유레카를 외칠 수 있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그렇지만 유레카를 느끼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 불교에서 깨달음의 순간인 ‘돈오’를 거치면 그 전과 후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것과 같을 것이다.
이런 깨달음을 얻은 것은 얼마 전이었다. 지난달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워싱턴선언’을 발표한 뒤에 대통령실에서는 “사실상 미국과의 핵 공유”라고 밝혔다.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도 “사실상 최초의 핵 공유 선언문”이라며 환영해 마지않았다. 물론 미국 백악관 측은 이를 두고 “핵 공유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우리 정부는 다시 “핵 공유로 느끼는 것과 핵 공유가 아니라는 것은 크게 다르지 않다. 용어에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다”며 짐짓 대인배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로부터 한 달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 한국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것을 두고 여당에서는 또다시 “한국이 심리적으로 G8 국가 반열에 올랐다”고 자평했다.
혹자는 이에 대해 ‘정신 승리’ 또는 ‘인지부조화’라고 비판한다. 모르는 소리다. 인지부조화는 이솝 우화 ‘신포도와 여우’ 이야기처럼 높이 매달린 탐스러운 포도를 먹으려고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했을 때 ‘저 포도는 맛이 없을 거야’, ‘저 포도는 시어서 아무도 안 먹을 거야’라고 믿는 심리 상태이다. 미국 심리학자 리언 페스팅거가 이론화한 개념인 인지부조화는 말 그대로 어떤 정보가 신념, 믿음, 행동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우리의 뇌와 마음은 불안해지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반응이다.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를 합리화하는 방식으로 일치시킨다는 말이다. 인지부조화는 최근 뇌과학으로도 확인된 바 있다.
만약 인지부조화나 정신 승리가 아니라 정말 그렇게 믿고 있기 때문에 한 말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자기 생각이나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해지는 것이다. 일종의 확증편향 아니냐고 말해도 어쩔 수 없다.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를 하루하루 사는 것도 힘겨운 국민을 위한 배려라 생각한다. 편하게 생각하면 된다. 공유경제가 따로 있지 않다. 마음먹기에 따라 공유경제를 넘어 공유정치, 공유행정, 공유과학도 가능하다. 누리호 같은 발사체를 비롯한 우주 개발에도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어차피 미국과 한미 우주 협력 협정을 맺고 있으니 미국에서 우주발사체를 쏘아 올리거나 화성이나 심우주를 탐사하는 것도 ‘심리적으로 우리의 연구개발 성과’이다. 그러니 굳이 발사체 개발에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올해 노벨과학상 수상자 중 한국 국적이나 한국 거주 과학자가 포함될 가능성은 작다. 그렇지만 한국은 미국, 일본, 유럽 선진국들은 물론 러시아, 중국과도 과학기술 협력 협정을 맺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국가에서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나오기만 한다면 한국도 심리적으로 노벨과학상 수상국이 되는 것이다.
실체가 있는가에 관해 물어서는 안 된다. 용어나 의미에 집착해서도 안 된다. ‘믿습니까’라고 물으면 심리적 확신을 갖고 그냥 ‘믿습니다’라고 외치기만 하면 된다. 심리적 핵보유국이자 G8 국가인 한국에서 안 될 게 무어냐 말이다.
2023-05-2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