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문화체육부 전문기자
현실성은 없지만 그만큼 히딩크 감독의 존재 자체가, 그리고 2002 한일월드컵이 상징하는 히딩크의 축구가 대한민국 국민들 머릿속에 워낙 깊이 각인돼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27일 74대 대한축구협회 성인대표팀 감독으로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름을 올리면서 한국 축구를 이끌었거나 이끌 대표팀 감독은 모두 52명이 됐다. 임기별 횟수는 74차례지만 최소 2번, 최대 5번까지 임기를 다시 수행한 감독이 15명이나 되기 때문이다. 클린스만 감독은 1994년 7월부터 1년 반 남짓 대표팀을 맡은 구소련 출신의 아나톨리 비쇼베츠 감독 이후 한국 축구대표팀을 이끌 9번째 ‘이방인’ 감독이 됐다.
한국 축구는 히딩크의 전과 후로 나뉜다. 하지만 축구대표팀 감독의 운명이 파란만장했던 건 예나 지금이나 같다. 광복 2년 뒤인 1947년 재건된 조선축구협회는 대표 선수 선발을 전담하는 ‘선수선발위원회’를 발족시켜 이듬해 런던올림픽 출전을 준비했다. 감독은 작고한 박정휘씨다. 하지만 대학 선수들의 집단 월북사건에 휘말리면서 박 감독은 부임 한 달 만에 지휘봉을 놓게 된다.
어긋난 초대 감독의 운명은 이후 이 땅의 축구대표팀 감독들이 겪어야 했던 기구한 가시밭길을 예고했다. 이들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FIFA 월드컵뿐 아니라 아시안게임, 올림픽까지 혼자 도맡았다. 이 탓에 도쿄올림픽 예선 본선, 이스라엘 아시안컵이 동시에 열린 1964년 대표팀은 김규환과 박일갑, 두 명의 감독이 이끌어 의도치 않게 현재 운영 중인 각급 대표팀의 ‘효시’가 되기도 했다.
최초의 전임제 감독은 1992년 부임한 김호 감독이다. 이전까지 대표팀 감독은 자신의 실업팀 등에서 활동하다 A매치가 있을 때 선수들과 함께 소집되는 겸임제 감독에 불과했다. 전임제 감독 시대가 열리면서 한국 축구는 비로소 ‘월드컵급’의 시야를 선물했다.
하지만 전임 감독이 됐다고 해서 단박에 ‘팔자’가 바뀌진 않았다. 히딩크 감독이 남기고 간 건 ‘월드컵 4강’이라는 업적뿐 아니라 높아질 대로 높아진 국민의 기대감과 눈높이라는 숙제였다. 한일월드컵이 끝나고 3명의 ‘대행’을 포함해 히딩크라는 ‘거울’ 앞에 섰던 14명 감독들 가운데 초반 서너 명은 모진 비난을 겪고 중도에 하차하거나 눈물의 짐보따리를 싸야만 했다.
대한축구협회가 공언한 시한 28일을 하루 앞두고 발표된 클린스만 신임 감독의 사령탑 낙점에도 이전처럼 우여곡절이 있었다. 지난달 11일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겠다”는 마이클 뮐러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의 선언이 있었지만 지난 50일 동안의 검증에도 무게중심은 결국 ‘해외파’로 쏠렸다. 국내파 배제를 성토하는 일부 축구인들의 목소리는 아랑곳없었다. 그리고 뚜껑이 열렸다.
“도장만 찍으면 아침이든, 밤이든 발표하겠다”는 이날 축구협회 관계자의 귀띔대로라면 최종 서명에 앞선 마지막 ‘밀당’도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게 무엇이든 클린스만 신임 감독은 알아야 한다. 축구를 바라보는 한국인의 시선을.
새 감독을 둘러싼 우여곡절을 바라보면서 20년 훌쩍 넘은 시간을 모른 척하고는 ‘히딩크가 다시 왔다면?’이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해 본다. 또 한 번 헛웃음이 나온다.
2023-02-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