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철 체육부 선임기자
제대로 사과받지 못한 그는 가해자를 추호도 용서할 마음이 없었다. 가해자의 징계가 풀려도 배구판으로 돌아와도 입을 다문 것은 공론화되면서 트라우마로 남은 악몽을 떠올리기 싫었거나 아이까지 알게 될까 걱정스러웠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만신창이가 된 아빠의 얼굴 사진을 언젠가는 딸도 보게 되겠지만 그래도 충격을 받아들일 나이가 되면 “아빠는 잘못을 바로잡으려 했다”고 말해 주려 했을 수도 있다. 과거를 소환해 그 사건을 모르는 아이들까지 볼 수 있는 사진을 쓴 것은 폭력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려 한 것일지라도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또 한 번의 폭행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가해자인 그는 좁디좁은 배구판으로 돌아와서 진정한 사과와 용서를 구하지 않았다. 10여년이 지났고 나잇살이 더 많은 그가 여태 진심 어린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것은 어떤 비난을 받아도 할 말이 없으리라.
문제가 불거지고 나서야 사과하는 건 늦어도 너무 늦었다. 당시 폭행 피해자의 소속팀 감독이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다. 피해자를 훈계할 일이 있었다면 국가대표팀 감독이자 소속팀 감독이 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대회 성적에 관한 책임이 코치가 아닌 감독에게 있다는 것은 스포츠 초보도 아는 불문율 아닌가. 그의 폭행은 대물림인가.
피해자는 가해자에 대한 고소를 취하했다. 대한민국배구협회는 가해자에게 무기한 자격 정지라는 징계를 하고도 2년 뒤에 슬그머니 그 처분을 해제했다. 누가 어떤 근거로 징계 해제를 주도했는지 그 과정을 지금이라도 되짚어 잘못을 정리하는 것이 같은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는 길이다. 시효가 지난 일이라고, 과거 회장 때의 일이라고 나 몰라라 할 일은 결코 아니다. 배구판의 폭력을 이젠 정말 발생하지 않는 과거사라고 장담할 수 있나. 스포츠뿐 아니라 우리 사회 음습한 구석에 남아 있는 폭력의 대물림은 반드시 끊어야 할 악폐다. 오한남 배구협회장과 조원태 한국배구연맹 총재는 당시 가해자의 징계 해제를 주도한 이들이 혹시 조직에 남아 있는지 살펴보고 반성 없이 있다면 과감하게 도려내는 것이 옳다. 이들이 악폐를 감싸고 배구판을 좀먹는 어둠의 세력이자 공범이다.
미성년 시절 학교 폭력이라는 악몽을 소환하는 고발도 잇따른다. 학폭과 관련해 선수만 징계하는 것은 올바른 처사인가. 배구협회는 대증요법이나 사후 조치가 아니라 당시 상황을 부검하듯 입체적으로 조사해야 재발 방지책을 마련할 수 있다.
피해자가 폭행당할 당시 운동부 감독과 대한체육회, 학교장은 어디에서 뭘 하고 있었나. 미성년 때의 잘못으로 10여년 뒤 성인이 돼 징계를 받는데 정작 책임 있는 어른은 이들 뒤에 숨어 있다. 개인 문제로 치부해 선수에게만 책임을 전가해서는 폭력과 단절할 수가 없다. 지금 봉합에 급급하면 몇 년 뒤 또 터진다.
이번 폭력 고발 사태의 도화선이 된 첫 글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라졌다. “진심 어린 사과를 받고 싶다”던 글의 작성자는 그 글을 내린다고 아픈 과거가 치유되는 것은 아닐 터인데 고통의 공감자에게도 왜 글을 삭제했는지 밝혀 주면 좋겠다.
chuli@seoul.co.kr
2021-0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