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2021. 인문학의 가치를 아는 정치세력이 보이지 않는다.
과연 그럴까. 자구(字句) 풀이에서 벗어나 세계사를 바라보면 다른 해석도 가능할 것 같다. 공자는 기원전 5세기 사람이다. 인쇄혁명이 15세기에 있었으니 공자는 그보다 무려 2000년 전 사람이다. 인구 대부분이 문맹자였던 시대다. 활자 미디어를 통한 지식 확산이 불가능한 역사적 조건이다. 공자도 시대의 아들이다. 제아무리 공자라도 극복할 수 없는 시대적 한계가 있다. 공자는 지도자가 할 수 있는 일에 한계가 있음을 고심 끝에 털어놓은 것 아닐까. 이끌고 갈 수는 있되 일일이 이해시킬 수 없는 답답함을 토로한 건 아닐까.
언론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인쇄혁명 없이는 루터의 종교개혁도, 프로테스탄티즘과 ‘근대적 개인’의 등장도 불가능했으리라고 본다. 공자는 일일이 설득하고 이해시켜 가면서 민중을 이끌어 갈 수 없는 시대를 살았다. 공자 이후 1500년 넘게 흐른 중세 유럽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유럽의 민중은 예배와 미사가 거행되는 동안 그저 서서 바라보고 있으면 됐다. 예배도 미사도 모두 라틴어도 진행됐는데, 민중은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었고 이해할 필요도 없었다.
인쇄혁명을 넘어 정보혁명의 시대다. 공자처럼 “이치를 다 이해시킬 수 없다”고 변명할 수 없는 시대다. 지도자의 비전과 목표를 대중과 공유하고 설득하지 않으면 안 되는 민주 사회다. 정책결정권자라면 ‘보편과 상식’에 대한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세계사와 현대사 등 인문 교육이 절실하다. 이건 기성세대의 의무이기도 하다.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참고할 일이다. 젊은 세대의 우경화 원인 중 하나가 인문 정책 실종에 있다고 보기에 하는 말이다.
2022-03-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