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2010. 기둥도 맞춤법도 반듯한 게 보기 좋다.
네티즌들이 범하는 맞춤법 오류를 알아봤다. 많은 이들이 ‘낫다’와 ‘낳다’를 구분하지 못한다. “이제 집에 가는 게 낳겠다” 같은 표현이 예사롭게 나온다. 주요 일간지 기사에 빈번히 등장하는 ‘일사분란’(일사불란ㆍ一絲不亂)은 당혹스럽기 그지없다. ‘어이없다’를 ‘어의(御醫?)없다’로 쓰는 예는 너무 흔하다(사극을 너무 많이 본 모양). ‘결재’(決裁)와 ‘결제’(決濟)를 구분하지 못하는 건 예사다.
그 밖의 사례들이다(괄호 안이 맞다). 먼저 전통적인 오류. 청화대(청와대), 괘멸(궤멸), 괴변(궤변), 도퇴(도태), 좌충수(자충수), 쇠뇌(세뇌), 유래없는(유례없는) 한파, 후환무치(후안무치), 환골탈퇴(환골탈태), 경의로운(경이로운), 부하뇌동(부화뇌동), 호위호식(호의호식), 금위환향(금의환향), 인권비(인건비), 자수성과(자수성가), 지협적(지엽적), 개념치 않다(괘념치 않다), 발최(발췌), 에로사항(애로사항), 사필규정(사필귀정), 명예회손(명예훼손), 죄를 회계하다(죄를 회개하다), 문안하게(무난하게), 기대에 부흥(부응)하다, 막받이(막바지), 희안한(희한한), 유채이탈(유체이탈), 부하뇌동(부화뇌동), 경의로운(경이로운), 무소불의(무소불위) 등.
신세대의 맞춤법 오류도 경이롭다. 무적권(무조건), 의중을 간음(가늠)하다, 각개각층(각계각층), 책바퀴(쳇바퀴), 때쓰다(떼쓰다), 막받이(막바지), 선인군자(성인군자), 애숙모(외숙모), 앞면도(안면도), 편두성(편도선), 말리장성(만리장성), 옥의(오기)가 있지, 너봤게(너밖에) 없어, 이실짓꼬(이실직고), 여권(여건)이 안 되네, 이목굽이(이목구비), 연양실초(영양실조), 떡밖(뜻밖)의 편지, 흥망성쇄(흥망성쇠), 곽광(각광)받다, 하혜(하해) 같은 은혜, 유관상(육안상) 확인하다, 인명은 제천(재천), 일각연(일가견)이 있다, 무한실례(무한신뢰), 귀저기(기저귀), 햇가족(핵가족), 골에골에(고래고래), 무자기(무작위), 쉼호흡(심호흡), 무뇌한(문외한) 등.
이들 가운데 백미 하나만 골라 본다. “내 평생의 발여자(반려자)가 돼줘.”
2021-10-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