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 2010. 동시대의 비극을 우리는 너무 쉽게 잊는 것 아닐까.
한국사학자 이기백(1924~2004)은 1938년 당시 평안북도 정주의 오산학교 2학년 학생이었다. 그때까지 오산학교에는 일본어를 가르치는 일본인 교사 두 명을 제외하면 일본어로 강의하는 교사가 없었다. 한국인 교사들은 일본어 수업 강요에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교사들은 교실에서 학생들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보며 강의하지 못했다. 어느 날 갑자기 조선인 교사가 조선인 학생들에게 일본어로 수업하도록 강요당했으니 얼마나 민망하고 참담했을까.
그런 중에도 수신(修身)을 가르치던 교사 함석헌(1901~1989)만은 꿋꿋이 조선말로 강의를 계속했다. 학생들도 이를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그러던 어느 날 수업 도중 일본인 시학관(視學官)이 교장과 함께 그 반에 들이닥쳤다. 이기백은 교실 문을 급히 여느라고 시끌벅적 요란하게 소리가 나던 광경을 또렷이 기억한다. 함석헌의 조선말 수업 현장을 덮치려는 의도가 분명했다. 이기백은 선생들 가운데 일본 경찰과 내통하는 이가 있었다는 얘기를 나중에 전해 들었다. 누군가 경찰에 함석헌이 조선말로 강의를 한다고 고발한 것이다.
급박한 상황이었다. 조선말 수업 도중 느닷없는 일본인 관리의 난입이었다. 함석헌은 잠시 뜸을 들이고는 침착하게 일본말로 강의를 이어 갔다. 학생들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일본말에 능숙한 함석헌의 강의를 들으면서 놀란 가슴을 진정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뒤 얼마 안 돼 함석헌은 학교를 떠난다. 이기백은 이 수업 시간을 함석헌의 ‘마지막 수업’으로 기억한다.
이기백의 여섯 살 아래 동생인 국어학자 이기문(1930~2020)은 당시 소학교 4학년이었다. 이기문의 담임교사는 매우 엄격한 인물이었는데, 그날만은 학생들이 숙제해 오지 않은 것을 책망도 하지 않고, 두어 시간 남짓 우리말로 편지 쓰는 법을 자세히 가르치고, 시조도 몇 수 가르치더니 “이것으로 조선어는 마지막이다”라고 말하더라는 것이다. 소년들은 나직하게 떨리는 목소리와 함께 선생의 눈에서 눈물이 반짝이는 것을 보았다. 교실은 한동안 울음바다가 됐다. 나라 잃고 말까지 잃었던 세월, 불과 80년 전 일이다.
2021-08-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