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2020. 크리스토파노는 관료주의를 극복하려던 영웅이었다.
시 당국은 격리병원 설치를 결정했다. 최적의 장소는 시 외곽의 성 안나 수도원이었다. 그러나 수도원 측은 격리병원 지정을 끔찍한 재앙으로 여기고 완강히 버텼다. 가까스로 격리병원으로 지정된 것은 주민들을 위해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수도원을 병원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필요했다.
프라토 격리병원에 가구, 집기류, 생필품을 공급하는 최고책임자는 토스카나 대공이 직접 임명한 마르치나티 총독이었다. 그러나 대공의 위세를 업은 그는 프라토 시골 관리들을 깔보고 권위를 과시하며 물품 공급을 고의로 방해했다. 예산 긴축과 절약의 결과 흑사병이 기승을 부릴 때, 즉 격리병원에 음식, 약품, 이불, 장작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던 시기에 병원은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프라토 주민들의 비협조도 문제였다. 상인들은 흑사병이 번진 지역과의 교역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지키지 않았다. 교회는 종교행사와 기도회를 금지하는 행정 조치들에 강력하게 반발했다. 저명 인사들의 이기주의와 천박함은 보건소 관리들을 난감하게 했다.
절망적인 상황에서 1630년 12월 11일 프라토 당국은 만장일치로 크리스토파노를 보건위원으로 선출했다. 막중한 책임에 비해 보상이 미미해 아무도 맡으려 하지 않는 직책이었다. 의사는 아니지만 정직한 행정가로서 그는 흑사병뿐만 아니라 권위주의적인 관료들, 그리고 이보다 더 심각한 재정 문제와 싸워야만 했다.
그러나 그와 동료의 처절한 노력은 사람들의 무지, 완고함, 부주의로 인해 물거품이 됐다. 오만과 독단, 온갖 술책, 특권이 법 위에 군림했다. 엄한 처벌을 동반한 행정명령은 비웃음의 대상이었다. 1630~31년에 프라토 시민의 25%(약 1500명)가 사망했다. 사망자 대부분은 빈민이었다.
2021-07-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