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폴란드로 간 전쟁고아들/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폴란드로 간 전쟁고아들/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입력 2021-06-22 17:34
수정 2021-06-23 0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전 2021. 폴란드 선생님들의 사랑을 세상 무엇과 비교할 수 있을까.
대전 2021. 폴란드 선생님들의 사랑을 세상 무엇과 비교할 수 있을까.
추상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2018)을 봤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북한군은 38선 넘어 낙동강까지 물밀듯이 쳐들어왔다가 9·28 서울 수복 이후 유엔군에 쫓겨 북으로 퇴각했다. 후퇴하던 인민군은 점령지 곳곳에서 거둔 전쟁고아 1500명을 북으로 데려갔다. 전쟁고아 중 절반은 남한 출신이었다. 1951년 김일성은 폴란드 정부에 이들을 맡아 키워 달라고 비밀리에 요청했다.

부모를 잃고 전쟁 트라우마로 고통받던 아이들은 폴란드 프와코비체 양육원에서 만난 교사들을 선생님이 아닌 ‘엄마, 아빠’로 부르면서 8년 동안 행복하게 살았다. 그러나 1950년대 말 북한에서 천리마운동이 진행되면서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아이들은 1959년 갑작스러운 송환 명령을 받는다.

고아들은 한꺼번에 간 게 아니고 순차적으로 비행기에 태워 북으로 보내졌다. 먼저 간 아이들이 폴란드 선생님과 친구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연일 동원돼 중노동을 하고 있다는 아픈 소식이었다. 폴란드에 남아 있던 아이들은 이 소식을 듣고 북에 돌아가지 않게 해 달라고 울며 사정했다. 그들은 한겨울 눈밭에 뒹굴기도 했다. 몸이 아픈 환자가 되면 폴란드에 남을 수 있으리라는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서. 낳아 준 부모를 잃고 새로운 ‘부모’를 만나 겨우 안정을 되찾은 아이들이다. 다시 북으로 돌아간다면 그건 두 번 버림받는 일이었다. 그러나 결국 빠짐없이 북으로 향했다.

헤어진 지 60여 년. 폴란드 선생님들은 생사조차 알 수 없는 아이들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그 아이들을 지켜 주지 못한 것을 가슴 아파하며 눈물짓는다.

추 감독은 이 ‘각별한 정서적 유대’가 궁금했다. 이유가 있었다. 폴란드인 교사 중 상당수는 제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독일의 침략으로 부모를 잃었다. 전쟁고아였기에 낯선 나라에 도착한 고아들의 마음에 누구보다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폴란드 선생님들은 규칙을 정했다. 아이들이 자신들을 선생님, 아저씨, 아주머니, 원장 등으로 부르게 하지 말고 ‘엄마, 아빠’라고 부르게 하자고. 이토록 사랑하던 아이들을 북으로 떠나보낸 부모 마음이니 슬픔이 깊을 수밖에. 폴란드 ‘엄마, 아빠’들의 사랑으로 짧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던 그 아이들의 소식은 알 길이 없다. 살아 있다면 70대 중반의 나이일 것이다. 한국전쟁의 또 다른 비극이다.
2021-06-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