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거리두기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거리두기

입력 2021-01-19 17:08
수정 2021-01-20 01: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년 대전. 때로는 거리두기가 필요하다.
2021년 대전. 때로는 거리두기가 필요하다.
프랑스 작가 미셸 투르니에(1924~2016)는 ‘예찬’에서 일상이 심드렁해지고 아무런 호기심도 느낄 수 없게 된다면, 스무 살이더라도 더이상 청년이 아니라고 말한다. 존재와 사물의 아름다움에 감동하고 예찬할 때 삶은 의미가 있다. 그의 호기심 대상 중에는 나무도 있다.

투르니에는 25년 전 집 뜰에 전나무 두 그루를 심었다. 그 나무들은 15m 정도 크기로 자랐고, 가지들이 서로 닿을 정도다. 그런데 좀 떨어져서 살펴보면 두 나무가 똑바로 자라는 것이 아니다. 둘 사이에 거리가 있음에도 마치 서로에게서 떨어지고 싶다는 듯 반대쪽으로 약간 비스듬히 자라고 있다. 작가는 각각의 나무가 다른 나무에 혐오의 전파를 보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작가가 묘목업자에게 그 이야기를 했더니 이렇게 대답한다. 나무란 마음껏 자랄 수 있도록 거의 무한대의 공간을 주위에 확보해 딱 한 그루만 심어 놓았을 때 멋지게 자란다는 것. 작가는 옳거니 하고 깨우친다. 나무들은 서로를 증오한다. 나무는 개인주의적이다. 작가는 밀림이 뿜어내는 고통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밀집해 자라는 나무들은 서로를 미워한다. 그는 숲속의 공기가 식물적 증오로 가득 차 있는 것 같다고 느낀다.

최영아 서울특별시립서북병원 의사는 요즘 보기 드문 의료인이다. 의료 인생의 전부라 할 수 있는 20년 세월을 노숙인 치료에 헌신해 왔다. 내과 의사를 선택한 이유도 노숙인을 더 자주 만나기 위해서다. 그래서 ‘노숙인의 슈바이처’로 불리기도 한다. 그뿐인가. 지난해 2월에는 의료진조차 꺼리는 코로나19 병동 전담 주치의에 자원했다.

코로나19 병동에서 일하면서 그는 뜻밖의 사실을 발견했다고 한다. 의외로 노숙인 중엔 코로나19 감염자가 없다는 것이다. 노숙인들이 주로 혼자 밥을 먹고 대인 접촉이 없어 코로나19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우에서 보듯 사회성이 좋고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며, 잘나가는 사람들이 코로나19에 오히려 더 취약하다는 것이다. 그는 일반적으로 전염병에는 소외계층이 더 취약한데 코로나19는 그렇지 않았다면서 인간의 삶을 새로운 눈길로 바라본다. 청년의 시선이다. 사람도 나무처럼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깨우침일 것이다.

함께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코로나 시대에는 ‘따로’ 지내는 연습을 해 보는 것도 좋겠다.
2021-01-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