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봄, 전북 삼례
작가의 감옥생활 체험담이 볼만하다. 작가는 지식인과 무식자는 감옥에서 견디는 능력에 큰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지식인은 감옥 속에 있어도 중병에 걸리지 않는 한 호락호락하게 잘 죽지 않는다. 그런데 무식자는 육체적으론 지식인보다 훨씬 건장해도 대수롭지 않은 병에 허무하게 쓰러진다.” 작가는 후속작인 단편 ‘겨울밤’에서 그 예를 든다. “만석꾼 아들인 좌익 사상범 노정필은 20년의 감옥살이를 견디어 냈는데, 소작인의 아들 이씨는 2년 옥살이도 이겨 내지 못하고 죽었다”라는 식이다.
옥살이를 해 봤기에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는 지식인은 난관에 부딪혔을 때 두 개의 자기로 분화된다고 말한다. 하나는 난관에 부딪혀 고통을 느끼는 자기, 또 하나는 고통을 느끼고 있는 자기를 지켜보고 그러한 자기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자기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식인은 웬만한 고통쯤은 스스로 위무하면서 견딘다. 반면 무식자는 고난을 겪는 자기만 있을 뿐이지 그러한 자기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자기가 없다.
박학현시(博學顯示)의 작가답게 어렵게 표현했지만, 간단히 말해 독서를 통한 자아 성찰이 감옥생활을 견디게 해 준 힘이라는 내용이다. 코로나19로 모두가 반강제적 자가격리를 받아들여야 하는 시대다. 코로나19 이전의 세상은 다시 오지 않는다. 자기를 격려하는 또 하나의 자아가 모두에게 필요하다.
정신과 의사들은 ‘코로나 블루’라는 국민 정신건강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 책 읽는 습관은 자가격리 시대를 견디는 힘이 된다. 감염병 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범국민적인 독서 운동이 절실하다. 잘만 하면 독서인구 확대라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소프트파워와 장기비전에 눈뜬 지도자가 필요하다.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0-06-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