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전북 삼례
아모스는 ‘문서예언의 효시’로 불린다. 이사야, 예레미야의 대선배다. ‘정의의 예언자’로도 불리는 그는 종교의 핵심이 도덕이라고 강조했다. 당시의 종교·정치 지배계급은 공동체의 운명에는 관심이 없었다. 사법제도는 망가져 결백한 자가 감옥에 끌려갔다. 하지만 이토록 타락했음에도 종교의식에는 광적으로 집착했다. 사흘마다 십일조를 바칠 정도였다.
아모스는 정면으로 도전한다. 그는 구약종교가 의식종교로 타락했다고 꾸짖으며 ‘정의’를 요구한다. “오직 정의를 물같이, 공의(公義)를 마르지 않는 강처럼 흐르게 하라.”(‘아모스’ 5장 24절) 아모스는 종교행사가 전혀 무가치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 “나(야훼)는 너희가 벌이는 행사들이 역겹다. 너희 성회들을 기뻐하지 아니하나니 너희가 내게 제물을 바친다 해도 내가 받지 않겠다.”(‘아모스’ 5장 21~22절)
아모스의 신은 심지어 의식 그 자체를 죄악으로 간주한다. “너희는 벧엘에 가서 범죄하며 길갈에 가서 죄를 더하며 아침마다 희생제물을 바치고 삼일마다 십일조를 드리는구나.”(‘아모스’ 4장 4절)
종교행사를 경멸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성전들을 모조리 때려 부수고 성전에서 예배하는 자들을 샅샅이 찾아내 모조리 죽여 버리겠다고 선언한다. “성전 기둥머리들을 쳐서 문지방이 흔들리게 하라. 기둥들이 부서져 내려서 모든 사람들의 머리를 치게 하라. 거기에서 살아남은 자들은 내가 칼로 죽이겠다.”(‘아모스’ 9장 1절) 구약종교에 대한 고정관념을 철저히 깨부수는 말이다.
아모스가 말한 정의는 대단한 게 아니다. 정직, 공정, 자비 등 상식적이고 보편적인 도덕률이다. 특히 시민적 도리와 이웃 사랑을 강조했다. 일반 국민이 개신교계에 요구하는 것도 별거 아니다. 공동체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와 이웃 사랑을 보여 달라는 것이다. 애꿎은 구약을 탓할 것 없다. 불리한 구절을 선택적으로 외면하는 일부 교회와 철학자가 딱할 뿐. 아스팔트에 떨어진 꽃비는 아름답기라도 하지.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0-04-0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