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가을, 영국의 온천도시 배스
사회자 얼굴에 당혹스러운 표정이 잠깐 스쳤다. 기대했던 답이 아니라는 표정이었다. 그는 얼른 말을 돌려 “그런 것 말고 연날리기, 제기차기 같은 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고 되물었다. 두 사람의 대화를 통해 ‘전통’에 대한 두 가지 다른 관점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사회자는 민속촌이나 민속박물관에 박제된 모습으로 남아 있는 ‘과거’를 전통으로 생각한 반면 장기자랑 참가 외국인은 ‘현재’에서 전통을 발견한 것이다.
둘 중 어느 쪽이 전통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가졌다고 볼 수 있을까. 우리는 대부분 전통을 ‘과거’에 속한 것으로 생각한다. 어쩌면 방송 사회자는 전통에 대한 우리의 통념을 은연중에 대변한 것일 수 있다. 과연 전통은 ‘과거’에 속한 것일까. 2019년 작고한 미국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전통의 시제(時制)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라는 것이다.
외래문화와 전통문화를 분리해 생각하곤 하지만 ‘순수한’ 우리 고유 전통은 많지 않다. 유교, 불교를 우리 고유 전통이라 말하지만 둘 다 ‘오래된’ 외래문화일 뿐이다. 그에 비하면 기독교는 비교적 ‘최근의’ 외래문화라고 할 수 있다. 밖에서 왔지만 이 땅에 뿌리를 뻗으며 우리 전통이 돼 가고 있는 중이다.
어떤 외래문화든 ‘빛’과 ‘그늘’이 공존한다. 그 ‘빛’을 ‘우리 전통’으로 소화해 낼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외래문화가 들어와도 어둠만 늘어날 뿐이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는 말이 있다. 최근 물의를 일으킨 신흥종교는 우리의 종교문화 소화 능력에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음습한 탐욕을 당의(糖衣)로 포장한 종교적 광신에 지나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영국의 온천도시 배스(Bath)는 로마의 목욕탕이 가장 잘 보존돼 있는 유적지다. 영어단어 ‘bath’(목욕)의 어원이다.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는 병든 전통을 씻어내야 한다.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0-03-18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