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충남 부여 무량사 입구
역사가들은 1789년(프랑스혁명)부터 1914년(제1차 세계대전 발발)까지를 ‘역사적 19세기’로 본다. 100년 조금 넘는 이 시기에 대체로 동질적인 시대정신이 유지됐다고 본다. 19세기는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으로 시작돼 민족주의와 자유주의가 전 유럽을 휩쓴 시기다.
프랑스혁명과 동시에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이 일어나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의 대격변이 시작됐다. 정치혁명과 경제혁명이 동시에 발생한 것이다. 영국 역사가 에릭 홉스봄은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을 이중혁명(dual revolution)이라 부른다. 19세기는 산업혁명의 결과 공업사회가 탄생하면서 노동문제, 도시문제, 임금문제, 환경문제 등 우리에게 낯익은 각종 사회문제들이 등장한 시기이기도 하다.
1914년 시작된 ‘역사적 20세기’는 언제 끝났을까. 1989년의 베를린장벽 붕괴로 보는 시각이 있다. 이 사건과 뒤이은 1991년의 구소련 멸망으로 냉전시대가 종식됐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시각도 있다. 2001년의 9ㆍ11사태를 ‘역사적 21세기’의 출발점으로 보기도 한다.
물리적 시대 구분에서는 21세기의 출발점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예수 탄생을 서기(AD) 1년으로 잡았기 때문에 2001년부터 새 세기의 시작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역사학계는 2000년을 새로운 세기의 출발점으로 판단했다. ‘서기’라는 개념이 생겨난 6세기 서양에서는 0이라는 숫자가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기원전(BC) 1년에서 바로 서기 1년으로 옮아갔으므로 서기 1년은 엄밀한 의미에서 곧 0년이다. 따라서 서기 1년에서 99년까지는 사실상 서기 0년에서 99년과 같다는 것이다.
21세기 출발점 논쟁도 20년 전의 일이 됐다. ‘꺾어지는 해’ 2020년이다. 다 같이 기지개를 펴자. 모쪼록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새 출발이 가득한 한 해가 되기를.
우석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2020-01-08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