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대전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엄마와 나는 숨바꼭질을 자주 했다. 그럴 때면 나는 엄마를 금방 찾아냈다. 그런데 엄마는 오래오래 있어야 나를 찾아냈다. 나는 다락 속에 있는데, 엄마는 이 방 저 방을 찾아다녔다. 다락을 열고 들여다보고서도 ‘여기도 없네’ 하고 그냥 가 버린다. 광에도 가 보고 장독 뒤도 들여다본다. 하도 답답해서 소리를 내면 그제야 겨우 찾아냈다. 엄마가 왜 나를 금방 찾아내지 못하는지 나는 몰랐다.”
요즘으로 치면 과외공부 하러 간 학원에서 ‘땡땡이’를 쳤다가 엄마에게 들통나서 종아리 맞고 울던 일도 담담하게 털어놓는다. “한번은 글방에서 공부하다 몰래 도망쳤다. 너무 시간이 이른 것 같아 한길을 좀 싸돌아다니다가 집에 돌아왔다. 내 생각으로는 그만하면 상당히 시간이 지난 것 같았다. 그런데 집에 들어서자 엄마는 왜 이렇게 일찍 왔느냐고 물었다. 어물어물했더니 엄마는 회초리로 종아리를 막 때린다. 나는 한나절이나 울다가 잠이 들었다. 자다 눈을 뜨니 엄마는 내 종아리를 만지면서 울고 있었다. 왜 엄마가 우는지 나는 몰랐다.”
피천득은 엄마가 왕비보다 더 예쁘다고 믿었다. 그렇게 예쁜 엄마가 그를 두고 달아날까봐 늘 걱정이었다. “그래서 엄마가 나를 버리고 달아나면 어쩌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때 엄마는 세 번이나 고개를 흔들었다. 그렇게 영영 가 버릴 것을 왜 세 번이나 고개를 흔들었는지 지금도 나는 알 수가 없다.” 엄마는 그가 만 아홉 살 때 세상을 떠났다.
동심을 귀하게 여긴 피천득은 점잔을 빼는 학계 ‘권위’나 사회적 ‘거물’을 보면 그를 불쌍히 여겨 그의 어릴 적 모습을 상상해 보는 버릇이 생겼다고 한다. “그러면 그의 허위의 탈은 눈같이 스러지고 생글생글 웃는 장난꾸러기로 다시 환원하는 것이다.” 권력에 취해 부끄러움을 잃어버린 엘리트들이 꼭 읽어야 할 글이다.
2019-09-18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