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나와 이로운 못 하나 박은 것 없다 못 하나만 잘 박아도 집이 반듯하게 일어나고 하다못해 외투를 걸어두는 단정한 자리가 되는 것을 나는 간통을 하다 생을 다 보냈다 시를 훔치려고 소설을 훔치려고 외람된 기호를 가장했다 아, 나는 남의 것을, 모든 남의 몫뿐이었던 세상을 살다 간다 가난한 눈물로 물 그림을 그리던 책상은 긍지처럼 오래 썩어가게 해 달라 단 하나 내 것이었던 두통이여, 이리로 와서 심장이 터지는 소리를 막아 다오 그리고 떳떳한 사랑을 하던 부럽던 사람들 곁을 떠나는 출발을 지켜봐 다오
봉함엽서를 쓰던 시절이 있었지요. 엽서를 다 쓴 뒤 봉함을 하게 되니 그 안에 무슨 글을 썼는지 알 수 없습니다. 봉함엽서 안에 단풍잎이나 껌 사진을 넣을 수도 있었지요. 불법이지만 그 무렵 집배원이나 우체국에서 크게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가난했지만 행복한 시절이었지요. ‘가난한 눈물로 물 그림을 그리던 책상’이 내게도 있었습니다. 밤새 엎드려 쓴 글을 아침에 사보나 잡지에 팔아 쌀도 사고 감기약도 짓고 전기세를 냈지요. 밤에 쓴 글은 아침 어물전의 생선 같아요. 그 글로 ‘심장이 터지는 소리’를 막았으니 끝내 사랑할밖에요. 좋아하는 것을 열렬히 좋아하기. 그보다 좋은 ‘물 그림’ 없을 것입니다.
곽재구 시인
2020-12-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